31일 한은이 공개한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몇몇 금통위원들은 기준금리 인상을 주장하면서 동결할 경우 자칫 금리 인상 시기를 놓칠 수 있다고 말했다.
당시 회의에서 4월 기준금리는 다수결에 따라 3.00%로 동결됐으며 이는 시장의 예상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반면 김대식, 최도성 위원은 명백한 반대의사를 표시하면서 0.25%포인트 인상을 주장했다.
당시 한 금통위원은 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중기물가안정목표 상한선인 4%를 웃돌 가능성을 우려하며, 인플레이션이 물가와 임금 상승으로 이어지는 2차 효과를 언급했다.
이런 상황에서 향후 경기신호가 약화하거나 경제국면이 바뀔 경우 물가는 잡지고 못하고 금리인상 정책기조를 멈춰야 할 수도 있다는 설명이었다.
이 위원은 “아직 여유가 있을 때 금리를 인상해야만 차후 정책운용의 유연성이 확보돼 통화정책의 유효성을 높일 수 있다”며 “통화정책은 타이밍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뒤늦게 따라잡기 위해 무리한 정책운용을 하면 오히려 경기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금통위원은 “고유가는 세계경제의 공통된 충격인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우리나라의 물가 수준이 가장 높은 그룹에 속한다는 것은 지금까지 통화정책의 정상화를 위한 타이밍과 속도가 적절했는지, 선제적인 전략은 부족하지 않았는지 뒤돌아보게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최근 물가불안심리가 확산되면서 기대인플레이션율이 크게 올라 앞으로 기조적인 물가상승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 “금리정상화의 속도를 더욱 빠르게 끌고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아직 여유가 있다는 일부 위원들도 있었다.
일부 금통위원은 “최근 원화의 빠른 절상속도, 시장의 정책금리 기대 등을 고려할 때 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대신 기준금리 정상화가 꾸준히 이뤄질 것이라는 신호는 시장에 분명히 전달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했다.
이밖에 금리 동결 근거로 공급측 요인에 의한 물가상승이 심각한 상황에서 지난해 7월 이후 4차례에 걸친 기준금리 인상 효과가 미미한 데 따라 수요억제 정책은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