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25일 최소한도의 학업성취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들에게 보충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취지에 이런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현재 학부모와 교사 등 3만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했다.
교과부는 이 제도를 도입하는 전제조건으로 학업평가 방식을 5단계 절대평가로 전환하고 성취도 평가를 기존의 '수우미양가'에서 'ABCD(F)'로 바꿔야 한다고 설명했다.
여기서 교과목별로 최소한의 학업성취 수준을 설정하고 이에 미치지 못하면 '재이수(F)'로 표기하되 학교생활기록부에는 평가결과를 기재하지 않도록 했다.
학교는 F를 받은 학생들에게 계절학기 또는 방과후에 해당 교과목을 재수강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이어 재수강과 특별과제 등을 통한 재평가를 거쳐 'A~D'까지 성취도 평가를 다시 매기게 된다.
교과부는 이번 설문조사 안내문을 통해 '교과목별 재이수제는 학생에게 불이익을 주려는 징벌적 제도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못박았다.
교과부 관계자는 "그동안 내신을 상대평가에서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데 있어 특목고나 자사고 재학생 등 상위권 학생의 고려 사항은 검토한 적이 있지만, 하위권 학생을 어떻게 평가할지는 연구가 빈약했던 게 사실"이라며 "재이수제를 통해 하위권 학생을 구제하고 평가할 방안이 마련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과부는 현행 9등급 상대평가 방식의 고등학교 내신제도를 절대평가로 바꾼다는 전제 아래 그동안 각 과목의 석차와 등급을 표기하던 것을 원점수, 과목평균(표준편차), 성취도(A~F), 수강자 수를 표기하는 것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학교도 석차와 재적수를 표기하던 것을 성취도(A~F)와 석차, 재적수를 표시하는 것으로 바꾸는 방안이 연구진에서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