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값 '폭등'해도 '폭동'은 줄어

2011-01-06 15:27
  • 글자크기 설정
쌀·밀 가격 추이 (출처 FT)
(아주경제 이정은 기자) 3년전 케냐 시내의 주요 거리에는 극빈층이 매일 폭동을 일으켰다. 식품가격이 급등해 한끼도 제대로 때우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케냐인들의 주식인 차파티 가격이 전년에 비해 50%나 올랐는데도 불구하고 케냐 거리는 잠잠하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6일자에서 2008년 식량위기 때보다 식품가격은 더 올랐지만 폭동은 현저히 줄었다며 그 원인을 분석했다.

국제 식량정책을 담당하는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식량위기'를 규정짓는 광범한 폭동이 3년 전보다 크게 줄었다고 말했다.

최근 모잠비크, 볼리비아, 인도 등에서 식품가격 급등으로 인해 시위가 일긴 했어도 3년 전 30여개국에서 동시에 폭동이 일어난 것에 비해선 크게 줄어든 것이란 평가다.

압돌레자 아바시안 FAO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그 이유를 글로벌 식량안보에서 가장 중요한 쌀과 밀 가격이 종전 최고치에 근접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식량 위기였던 지난 2008년 5월 국제 쌀 가격은 t당 1050달러를 찍은 데 비해 현재는 550달러를 유지하고 있다. 또 밀 가격은 2008년초 450달러를 넘어섰으나 현재 t당 30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또 지난해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작황이 좋아 이들 국가들의 현지 가격이 낮았다는 점도 이유로 들 수 있다.

미국 식량기구 담당자에 따르면 미국 밀 가격은 지난해 5월에서 11월 사이 약 50% 가까이 급등한 데 비해 같은 기간 아프가니스탄이나 파키스탄에서는 30%만 올랐다.

옥수수 가격도 미국에서는 같은 기간 45% 오른 반면 아프리카에서는 10% 하락했다.

국제식량정책연구소(IFPRI)의 맥시모 토레로 애널리스트는 "지난해 아프리카의 경작 상황이 개선됐다"고 평가하며 이를 뒷받침했다.

이에 따라 식량 전문가들은 아프리카와 아시아 국가들이 해외 농산품을 수입할 필요가 없게 되면 국제 식품가 상승도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기상악화로 경작 규모가 축소될 경우에는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