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명박 대통령이 사태 초기 ‘확전되지 않도록 잘 관리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진 점, 북한의 첫 공격 이후 대응포격까지 10여분 이상의 시간이 걸린 점, 그리고 국방부가 북한 측 공격에 앞서 인근 해상에서 실시 중이던 우리 군의 훈련을 ‘호국훈련의 일환’이라고 했다가 ‘통상적인 사격훈련’이라고 말을 바꾼 점 등을 두고 여야 의원들의 거센 추궁이 이어졌다.
김태영 국방부 장관은 먼저 우리 군의 대응 지연 논란과 관련, “포탄이 떨어진 뒤엔 일단 대피해야 하고 (훈련 때문에) 남서쪽을 향하고 있던 포의 방향을 다시 전방으로 돌려야 하기 때문에 사격을 준비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면서 “(북한의) 1차 포격 13분 뒤 대응사격을 한 것도 훈련이 잘 됐을 때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당시 우리 군의 훈련 성격에 대해선 “호국훈련을 하고 있는 건 맞지만 (연평도 인근의 훈련은) 월례적인 사격훈련이었다”면서 “북한이 앞서 전통문에서 호국훈련과 연관지어 (우리 측을) 비난했기 때문에 실무자가 잘못 설명했던 것 같다”고 해명했다.
또 ‘군이 처음부터 공군력을 동원, 북측의 해안포 진지를 초토화시켰다면 2차 공격이 없었을 것’이란 지적엔 “그런 생각도 했지만 (공군력 사용은) 전쟁행위로 갈 수 있기 때문에 (교전수칙상) 뒤로 고려하고 있다”고 전한 뒤, “앞으로 교전수칙을 수정·보완하고, 연평도 지역의 K9자주포 등 추가 전력 배치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앞서 열린 한나라당 의원총회에서도 “대통령이 ‘확전 방지’ 지시를 하게 만든 참모들을 문책해야 한다”는 요구가 잇따르는 등 논란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한편 이날 한나라당과 민주당 등 여야 8개 정당 원내대표는 이번 사태에 대한 국회 차원의 대북 규탄 결의안을 채택을 협의했으며, 각 당 지도부는 연평도 피해 현장과 전사 장병들이 빈소가 마련된 국군수도병원 등을 방문, 주민과 유족들을 위로했다.
maeno@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