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지식경제부는 국ㆍ내외 제조혁신 전문가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기업 수준과 업종별 특성, 전ㆍ후방 협력관계 등을 고려해 내년부터 주요 업종별ㆍ기업규모별로 제조혁신방법을 개발한다고 밝혔다.
외국기법을 그대로 도입해 사용하는 현 실정을 개선하고 우리 산업현실과 중소기업 수준에 맞는 방법을 찾겠다는 취지다.
또 기술ㆍ자원ㆍ관리시스템 등 제조현장을 개선해 품질(Q)ㆍ원가(C)ㆍ납기(D) 전반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목표다.
궁극적으로는 대기업 대비 각각 61%, 28%인 중견ㆍ중소기업의 생산성을 오는 2015년까지 70%와 4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2015년까지 5000개 기업에 적용
우선 정부는 맞춤형 제조혁신방법을 30개 업체에 대해 내년부터 시범적으로 실시하고, 오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5000개 기업에 대해 적용할 방침이다.
일본은 도요타와 소니 등 15개사가 참여하는 JMS(Japan Management Standard)를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 각 분야별 제조업 특성에 맞게 1~4등급으로 나눠 수준별로 적용하는 시스템이다.
정부는 제조ㆍ공정 혁신 연구개발(R&D) 지원도 올해 9%에서 오는 2014년 12%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제조ㆍ공정 원천기술 개발 로드맵'을 수립해 중장기 전략을 마련하고, 지역 소규모 제조업체에 대한 '현장밀착형 R&D 지원시스템'도 구축키로 했다.
'현장밀착형 R&D 지원시스템'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중소기업진흥공단, 한국산업단지공단, 테크노파크(TP)등 지역거점기관이 직접 현장에서 기업의 애로사항을 발굴해 대학ㆍ연구소에 과제로 보내고 관련 프로그램 신청도 하는 이른바 '원스톱' 지원체제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오는 2015년까지 세계 최초로 온라인 제조설계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주조 등 6대 뿌리산업과 전자를 포함한 모든 업종으로 확대한다.
또 2012년까지 자동차 등 10대 업종, 1000개 유형의 공정 설계와 분석 시뮬레이션 모델도 구축ㆍ제공키로 했다.
정부는 1000개 업체와 5000개 제품에 시뮬레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면 약 2500억원의 비용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대·중소기업 파트너십 강화
이밖에도 대·중소기업 생산성 파트너십 프로그램(생산성 3.0)도 추진한다.
정부는 기존 '대기업+1차 협력사' 네트워크를 '대기업+1·2·3차 협력사'로 심화·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생산성 파트너십 프로그램은 일단 대기업과 1차 협력사가 2차 이하의 다른 협력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참여자간에 합리적인 성과공유협약을 체결하면, 정부가 3년간 2차 이하 협력사의 생산성 향상을 종합 지원하는 사업이다.
'생산성 3.0'은 기존의 설비 자동화, 신규장비 도입 등 작업장 수준의 하드웨어적 혁신을 일컫는 '생산성 1.0'과 혁신기법 활용 등 소프트웨어적 혁신을 통한 기업 단위의 생산성 향상인 '생산성 2.0'을 넘어서는 개념이다. 공급망을 구성하는 기업 네트워크 전체 관점에서 혁신을 추구한다.
정부는 우선 내년에 5개 컨소시엄에 대해 시범 지원하고 오는 2012년부터 30대 대기업으로 확대해 연평균 1200개사를 지원한다는 목표다.
또 대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2차 이하 협력사 지원 자금에 대한 7%를 세액공제하고, 상생협력대상 신청시 가점을 부여하는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한편 생산성 향상 기반을 확충하고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마이스터고에 '제조혁신 고교과정'을 개설하고 생산성본부에는 '제조혁신 블랙벨트 과정'을 신설한다.
이를 통해 기업 생산성 파이오니어(개척자)를 3만명 정도 양성할 계획이다.
지경부 기업환경개선팀 관계자는 "이번 대책은 특히 최근 '환율전쟁'이 이슈화하면서 생존을 위해서는 선제적 생산성 향상이 궁극적인 해결책이라는 정책적 판단이 반영됐다"며 "이를 통해 중소ㆍ중견 기업의 자생력이 향상되고 산업전반의 경쟁력이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OECD 국가 중 9위를 차지하는 1인당 부가가치 순위도 오는 2015년에는 4위권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miholee@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