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정경진 기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28일 셋째 아들인 김정은에게 인민군 대장 칭호를 부여함으로써 북한의 3대 세습이 구체화된 가운데 향후 남북관계와 6자회담 등 한반도 정세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김정일 위원장이 김정은에게 첫 공식 직함으로 인민군 대장을 부여한 것은 ‘선군정치’를 계속 유지하면서 김정은의 군 장악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해석되고 있다.
또한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경희 당 경공업부장과, 장성택(김경희 남편) 국방위 부위원장의 측근으로 알려진 최룡해 전 황해북도 당 책임비서에게 인민군 대장 칭호를 부여한 것도 후계체제의 안정적 구축을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특히 김 위원장은 이날‘조선인민군 지휘성원들의 군사칭호를 올려줄 데 대하여’라는 제목의 ‘명령’을 통해 이날‘대장 칭호’를 받은 현영철과 최부일 이외에 류경에게 상장(중장), 로흥세·리두정 등 6명에게 중장(소장), 조경준 등 27명에게 소장(준장) 칭호를 부여, 40명 가까운 군 장성급 승진인사를 단행했다.
이는 김 위원장이 향후 김정은 후계체제에서 군의 역할을 중시할 것이라는 관측을 낳고 있다.
이번 인사조처 이후 북한의 대외 전략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관측이 엇갈리고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김정은으로의 후계체제 발판을 다지기 위해 대외 및 대남 관계를 유연하게 풀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천안함 사태 이후 북중 정상회담 등을 통해 북측이 6자회담 재개에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고, 대남 관계에서도 수해지원 요청, 이산가족상봉 제의 등 잇따른 유화조치를 내놓는 것도 이같은 맥락으로 해석되고 있다.
특히 최근 북측이 핵협상과 대미외교를 도맡아온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을 부총리에 임명한 것은 대외관계 개선과 협력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북한이 내부 결속에 주력하고 대외, 대남정책에는 당분간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김정은이 후계승계를 공식화했더라도 김 위원장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노선 결정을 단독으로 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김정은으로의 후계승계가 순탄치 못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김정은의 정치적 역량이 입증되지 못한 데다 김정일 사후 후견인 장성택이 김정은과 정치적 행보를 달리하는 등 내부 권력투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북한의 후계구도 공식화로 인해 교착상태에 놓인 6자회담에도 변화가 생길지 주목된다.
북한의 후계구도 공식화는 경제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북한 내부체제를 시급히 정비하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북한이 후계구도 공식화를 위해 김정은의 업적을 주민들에게 선전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6자회담을 비롯한 대외관계를 안정화하는 정책을 강화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북한이 지난 23일 핵협상을 맡아온 강석주 외무성 제1부상을 내각 부총리에 임명하는 등 대미 외교라인을 일제히 승진시킨 것도 미국과의 대화재개를 위한 우호적인 조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북한의 내부 변화 등 한반도 정세 변화에도 불구하고 6자회담 재개가 급물살을 타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한국이 북한에 천안함 사건에 대한 책임있는 태도를 요구하는 있지만, 북한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 우리 정부가 요구하는 조치를 취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shiwall@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