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경한국경제인포럼(의장 김기범 홍윤기)과 중소기업진흥공단 중국사무소가 공동주최하는 제3회 정기포럼이 26일 베이징에서 열린다.
이번 포럼에는 회원사 CEO와 임직원, 중국 진출기업 임직원, 주재 단체와 기관 관계자 등 100여명이 참가한다. 장소는 현대자동차빌딩 회의실.
북경한국경제인포럼은 지난 1월 중국 베이징을 중심으로 중견•중소기업 경제인들이 모여 만든 포럼이다. 현재 회원사는 70여개.
목적은 중국경제와 기업경영 환경에 대해 발전적인 대안을 찾고자 연구하는 데 있다.
매분기별로 국내외 최고 권위의 경제•경영 전문가들을 초청해 경제전망 포럼을 갖고 있다.
이번 포럼 강연자는 Hay컨설팅코리아 하지해 부사장으로 주제는 ‘바람직한 차이나리더십’이다.
중국 현지 채용인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방안과 바람직한 인사관리제도를 중심으로 강연한다.
하 부사장의 강연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북경한국경제인포럼과 중소기업진흥공단 중국사무소가 26일 베이징에서 정기포럼을 갖는다. 사진은 지난 6월 열린 제2회 정기포럼 모습. |
▲하지해(Hay컨설팅코리아 부사장)=중국 진출기업의 효율적인 인사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변화와 맥락을 잘 이해해야 한다. 4•5세대 중국인들이 선호하는 관리방식도 이해해야 한다. 이를 통해 한국기업의 상황을 고려하고 제도 설계에 충실히 반영해야 한다.
우선 중국 4•5세대는 개인적 실리, 서구적 관리, 상사와 정서적 유대 등을 주로 선호한다. 때문에 한국기업으로서는 공동체 의식 확립, 성과주의적 인사관리 등을 지향하되 ‘관시(关系)’문화는 지양해야 한다.
최근 지역적, 문화적, 경제적 등 유사성으로 인해 한국과 중국의 인사관리 체계는 성과주의적 모델로 나아가고 있다. 그러나 보상체계의 전환속도에는 다소 차이가 있다. 앞으로 단순한 역량체계, 효율적 교육운영 등이 필요하다.
또 중국 현지 채용인에 대한 신뢰와 성과를 강화하려면 정서적 유대관계 확보가 관건이다. 이는 기존 관시가 아닌 팀원의 공감대와 관리를 의미한다. 때문에 감성리더십 등 직원 행동변화가 입증된 상하관계 모델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국 4•5세대는 서구적 규칙을 통한 관리를 선호한다. 그러나 실질적인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정서적 측면의 관리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때문에 간단하고도 명확한 제도 설계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중국은 집단주의적 성향이 높을 것이라는 인식과 달리 개인성과 중심의 보상을 선호한다. 때문에 업적중심 평가, 주기적인 업무수행 상황 근거 기록, 개인별 목표 설정과정 공식화 등을 필요로 한다.
이는 중국인들이 개인중심의 평가와 보상, 참여를 통한 목표 설정, 관리자의 정확한 반응 등 서구식 관리체계를 원한다는 의미이다. 개인성과와 집단성과간 명확한 소통을 요구하는 것이다.
무엇보다 중국정부는 5개년경제계획에 따라 서구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현재 인사관리 제도는 1980년대 후반 ‘3철(철밥통, 철임금, 철의자)’을 폐지하고 지난해부터는 노동자 권익보호에 초점을 두고 있다.
북경한국경제인포럼과 중소기업진흥공단 중국사무소가 26일 베이징에서 정기포럼을 갖는다. 사진은 지난 6월 열린 제2회 정기포럼 모습. |
올해들어 신노동계약법 발효로 노동자 권익강화가 심화된 만큼 실질적인 서구식 인사관리 제도 도입을 확대해야 한다. 인건비 부담증가에 따른 채용과 해고에 대한 인사관리 철학을 확고히 해야 한다.
또 앞으로는 보다 가시적인 측면의 업적 중심 평가강화와 리더십 중심의 간단한 역량체계가 필요하다.
중국내 우수인력 유치에는 호구제 등 외부적 요소로 인해 태생적 한계가 있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급여인상은 효과가 낮고 감성적 측면에서 유인책이 필요하다.
중국 노동정책을 보면 5개년 단위로 일관되게 변화하고 있다. 신노동법에 따라 평가제도와 징계제도가 구체화, 세분화 되고 있다.
현재 노동법에 따르면 앞으로는 관시중심 관리라는 고정관념은 탈피돼야 한다. 노동권 강화를 목표로 일관적인 법령전개가 예상되는 만큼 법령에 부합하고 명확히 규정된 인사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중국은 이직에 따른 악용사례가 많고 법은 개인이익에 손을 드는 경향이 있다. 감정관리에 초점을 맞춘 리더십 강화가 시급하다.
전사목표에 대한 지속적 공유, 개인별 목표설정에 대한 참여 등을 강화하는 성과관리 방식이 필요하다./베이징=이건우 통신원
아주경제연구소 기자 ajnews@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