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구서 날아온다...'상하이 봉쇄' 반영되는 2분기 성장률 1%대 예상

2022-07-14 18:00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 1% 안팎 전망...15일 발표
中, 추가 부양책 내놓나...재정 정책 초점할 듯

[사진=로이터]

오는 15일 중국의 '봉쇄 청구서'가 날아온다. 올 초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상하이 등 주요 도시 봉쇄 등 충격이 제대로 반영되기 시작한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1%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중국 경제의 주름살이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 2분기 경제성장률 1% 안팎 전망...15일 발표
13일(현지시간) 로이터는 약 50명의 이코노미스트를 상대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중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인 2020년 1분기(-6.8%)를 제외하면 중국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2년 이후 역대 최악의 수치다.
 
중국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코로나19 기저효과로 30년 만에 최고치인 18.3%를 기록했지만 2분기 이후 7.9%, 4.9%, 4%로 하향세를 보였다. 그러다가 올해 1분기엔 4.8%로 코로나19 재확산세가 나타나기 직전 1~2월 경제 성장 효과가 반영되면서 일시 반등했다.

로이터뿐만 아니라 뉴욕타임스도 앞서 중국 2분기 GDP가 1%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중국 금융 데이터 제공업체인 윈드(Wind)와 UBS 역시 2분기 중국 경제성장률이 1.4%로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전 분기 대비로는 중국 2분기 GDP가 마이너스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1분기 GDP는 지난해 4분기보다 1.3% 증가했는데 2분기에는 1분기보다 1.5%포인트(p)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다.
 
녜원 화바오트러스트 이코노미스트는 로이터에 "중국 경제는 2020년 이후 또다시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인한 타격을 입었다"며 "코로나19의 확산세가 여전하기 때문에 2020년만큼 회복 속도가 빠르지 않고, 수출과 부동산 시장도 안팎 요인에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하반기 반등해도 중국 정부가 세운 올해 목표인 5.5% 안팎을 달성하기는 역부족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중국 주요 경제 지표가 4~5월 바닥을 찍고 상하이 봉쇄가 본격적으로 완화되기 시작한 6월부터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제로 코로나' 대가가 상당히 큰 데다, 2020년 우한 사태보다 회복 강도도 미약하다는 이유에서다. 또 중국 당국이 제로 코로나를 여전히 고수하고 있는 점도 한몫한다.
 
로이터는 3분기에는 4.8%, 4분기에는 5.1%로 GDP 성장률이 반등하겠지만 연간 성장률은 4%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 4월 로이터 조사 때 예상치(5%)보다 1%포인트나 낮아진 것이다. 닛케이도 올해 경제성장률이 4.1%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내 전망도 별반 크게 다르지 않다. 앞서 중국 경제 매체 제일재경이 조사한 중국 경제학자 17명의 2분기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0.94%였고, 중국 싱크탱크 거시경제포럼(CMF)도 2분기 경제성장률이 0.8%, 낙관적으로 봐도 1.3%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왕이밍 중국국제경제교류센터 부주석 역시 2분기 경제성장률이 약 1%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분기별 경제성장률 [자료=트레이딩이코노믹스]

◆중국, 추가 부양책 내놓나...재정 정책 초점
2분기 성적이 바닥을 칠 것으로 예상되면서 중국 정부가 추가 부양책을 쏟아낼 것으로 보인다. 중국 당국은 올해 경제성장률 5.5% 안팎의 성장 목표를 제시했는데 이를 위해선 올해 하반기 최소 7%대 성장률을 사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최근 중국 당국은 경기 부양을 위해 인프라 투자에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지난 13일 중국 정부는 오는 2035년까지 총 46만1000㎞에 달하는 도로망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또 일자리 안정과 서민 소득 보장에 있어서도 교통과 에너지, 재해복구 등 7대 주요 프로젝트를 시행하기로 했다.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통해 소득 감소로 인한 민심 이반을 막겠다는 계획이다.
 
이 외에도 하반기 중국 당국이 경기 회복을 위해 더 많은 경기 부양 카드를 꺼낼 것이라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다만 최근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압박 등이 커진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금리 인하 등 공격적인 통화 완화 조처를 하기보다는 재정 부양책에 더 힘쓸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실제 최근 중국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중국 정부가 하반기 인프라 투자에 쓰이는 지방 정부 특수목적채권(특별채)을 앞당겨 발행하거나 특별 국채를 발행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설사 통화 완화 정책을 꺼내 든다고 해도 하반기에나 시행할 것이라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중국 전문가들은 인민은행이 사실상 기준금리 역할을 하는 대출우대금리(LPR)를 오는 3분기에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특히 부동산 대출 활성화와 시장 안정에 더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5년물 LPR 인하 가능성이 대두된다. 다만 중국 경제가 회복기에 본격 접어든 만큼, 지급준비율(지준율)은 올해 동결할 가능성이 크다고 로이터가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