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빅스텝 단행] 대출이자 갚다 '하우스푸어' 될라…부동산시장 꽁꽁 얼어붙나

2022-07-13 16:10

서울 송파구 잠실의 한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한국은행이 '빅스텝(0.0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함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가 연내에 8%를 돌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재점화하고 있다. 8%대 주담대 금리가 현실화하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이다. 기준금리 3% 시대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가뜩이나 침체된 부동산시장이 완전히 얼어붙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은이 올해 기준금리를 네 차례(1월, 4월, 5월, 7월)나 올리면서 부동산 관련 대출을 받았거나 앞으로 받아야 할 차주의 금융 부담이 급격하게 늘고 있다. 거래 침체로 위축된 시장에 금리 인상 부담까지 더해지면 가계경제와 부동산시장에 상당한 압박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기준금리가 꾸준히 오르면서 신규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해 7월 2.81%에서 올해 5월 3.9%로, 상호저축은행 주택담보대출금리는 4.91%에서 5.02%로 각각 1.09%포인트, 0.11%포인트 인상됐다. 이날 기준금리가 한꺼번에 0.5%포인트 올라 2.25%를 기록하면서 주담대 금리 추이는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5월 기준 가계대출 금리별 비중은 연 3∼4%가 55.7%, 연 4∼5%가 23.7%, 연 5∼8%가 6.9% 수준이다.

예상보다 빠른 금리 인상 속도에 최근 1~2년 사이에 주택을 구매한 '영끌족'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서울 시내 내집 마련을 위해 2년 전 약 3%대(당시 기준금리 0.5%) 이율로 5억원(30년 만기)을 대출받은 30대 직장인 A씨는 금리가 약 6%대로 오르면서 원리금 부담이 42%나 급등했다. A씨는 대출 초기에만 해도 매월 원리금으로 약 210만원을 부담했는데 대출이자가 오르면서 월 부담액이 299만원으로 늘었다.
 
문제는 앞으로다. 금융권에서는 한은이 올해 말 기준금리를 2.75~3%대로 올리는 것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오는 26~27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자이언트스텝(0.7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에 나선다면 한국(2.25%)과 미국(현재 1.50~1.75%) 간에 금리 역전이 발생해 한은이 한 차례 더 금리 인상에 나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대출금리는 한 차례 더 오를 수밖에 없다. 만약 올해 말께 대출금리 8% 시대가 현실화하면 A씨가 매월 갚아야 하는 원리금은 333만원으로, 최근 2년 사이 58.57%나 오르는 셈이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금융 부담에 따른 거래 감소, 매물 적체, 가격 하락 등이 반복되며 부동산 리세션(경기 침체)이 장기화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향후 연 5∼8%인 가계대출 금리를 지불하는 차주 비중(현재 6.9%)이 전체 중 50%를 넘으면 가계경제와 부동산시장이 상당한 압박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면서 "높은 이자 부담 때문에 당분간 깊은 거래 관망세 속에 저조한 주택 거래와 가격 약세장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금리 인상으로 전세대출이자 부담이 월세보다 높은 사례가 다수 발생해 자발적 월세를 선택하는 임차인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수밖에 없다"면서 "특히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높은 지방 아파트나 연립·다세대주택 임대차는 전세가율이 80%를 넘으면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지불하는 등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극심한 경기 침체 속에서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대출 규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금리가 더 오르면 부동산 매매는 물론 민간 건설 투자도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과도한 인플레이션과 이를 방어하기 위한 금리 인상이 급격한 경기 침체로 이어진다면 지역별 수요에 따른 부동산 부의 양극화는 더 심해질 것"이라고 했다.

김효선 NH농협은행 부동산 수석위원은 "경제 불안과 금리 인상 등으로 매수자의 심리적 부담이 시장에 선반영된 부분이 있지만 이번 빅스텝 조치로 매수세 위축이 더 심해질 것"이라며 "거래량 감소와 전국적으로 약보합인 주택시장 분위기는 지속되겠지만 지역별 뚜렷한 차별화 현상은 더 심화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