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생태계 구축에 열 올리는 국내 기업들, 호주 정부 최고의 협업 파트너로 부상
2021-10-07 17:10
호주 정부가 수소사업에 속도를 내는 우리 기업들의 최적의 파트너로 떠올랐다.
코트라(KOTRA)가 7일 발간한 ‘호주 수소경제 동향 및 우리 기업과의 협력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정부는 호주 정부는 2030년까지 1kg당 수소 생산가격을 한화 1700원 미만으로 낮춰 경쟁력을 확보하고, 전체 온실가스의 80%를 배출하는 화력발전소를 2040년까지 전면 폐쇄할 계획이다.
호주 정부는 여기에 더해 ‘국가 수소 전략’에서 언급한 탄소중립 목표에 따라 2050년까지 전체 수소 생산량의 75%를 수출하고, 약 8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이룰 방침이다.
보고서는 수소경제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호주의 탄소중립 실천 방안 및 추진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 △호주의 에너지 전환 배경 △호주 수소산업 생태계 및 지역별 프로젝트 △호주 정부의 수소전략 및 추진계획을 심층적으로 조사했다. 또 호주의 대외 수소협력 현황 분석을 통해 한·호 수소산업의 협력 방향을 제시했으며, 호주 수소산업의 주요 전시회와 주요 기업 69개사의 정보를 담았다.
호주는 세금이 아닌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천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수소 가치사슬 중 ‘생산과 운반’에 집중해 수소경제를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호주 국립지질자원연구소에 따르면, 호주 국토의 11%에 해당하는 면적이 수소 생산에 최적화된 자연환경이기에 경쟁국 대비 수소 생산시설 확보에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국, 일본 등 주요 아시아 국가와 밀접한 지리적 이점을 살려 최대의 수소 생산국 및 수출국으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다만 호주는 수소 운송과 저장, 활용 단계에서 인프라 및 기술이 부족해 수소차 등 수소를 활용하는 기술이 앞서는 한국과의 협력을 희망하고 있다.
실제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지난 6월 열린 G7 양국 정상회담에서 “호주의 수소에너지 생산과 한국의 수소경제는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며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가 간 기술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같은 분위기에 한국과 호주는 상호보완적인 수소경제 협력이 이뤄질 것으로 점쳐진다. 국내 수소 생태계 구축이 기업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만큼 협력은 국가, 기업을 넘어선 초월적이고 포괄적인 방향이 될 가능성이 높다.
호주는 그린수소 생산국이자 수출국으로 수요처를 확보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다. 특히 연료전지, 수소차, 충전소 기반시설 강점을 가진 한국 기업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
수소 사업에 속도를 내는 국내 대기업들은 그린수소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 호주 정부와 우리 기업과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다. 신재생 에너지 교역의 시작이 멀지 않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최규철 코트라 멜버른무역관장은 “수소경제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며 “수소 생산에 유리한 환경을 갖춘 호주와 활용 기술에 강점을 가진 한국이 협력한다면 양국 모두 윈윈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
코트라(KOTRA)가 7일 발간한 ‘호주 수소경제 동향 및 우리 기업과의 협력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정부는 호주 정부는 2030년까지 1kg당 수소 생산가격을 한화 1700원 미만으로 낮춰 경쟁력을 확보하고, 전체 온실가스의 80%를 배출하는 화력발전소를 2040년까지 전면 폐쇄할 계획이다.
호주 정부는 여기에 더해 ‘국가 수소 전략’에서 언급한 탄소중립 목표에 따라 2050년까지 전체 수소 생산량의 75%를 수출하고, 약 8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이룰 방침이다.
보고서는 수소경제라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호주의 탄소중립 실천 방안 및 추진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 △호주의 에너지 전환 배경 △호주 수소산업 생태계 및 지역별 프로젝트 △호주 정부의 수소전략 및 추진계획을 심층적으로 조사했다. 또 호주의 대외 수소협력 현황 분석을 통해 한·호 수소산업의 협력 방향을 제시했으며, 호주 수소산업의 주요 전시회와 주요 기업 69개사의 정보를 담았다.
호주는 세금이 아닌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탄소중립을 실천할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수소 가치사슬 중 ‘생산과 운반’에 집중해 수소경제를 이끌겠다는 전략이다.
호주 국립지질자원연구소에 따르면, 호주 국토의 11%에 해당하는 면적이 수소 생산에 최적화된 자연환경이기에 경쟁국 대비 수소 생산시설 확보에 유리한 지리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국, 일본 등 주요 아시아 국가와 밀접한 지리적 이점을 살려 최대의 수소 생산국 및 수출국으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다만 호주는 수소 운송과 저장, 활용 단계에서 인프라 및 기술이 부족해 수소차 등 수소를 활용하는 기술이 앞서는 한국과의 협력을 희망하고 있다.
실제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지난 6월 열린 G7 양국 정상회담에서 “호주의 수소에너지 생산과 한국의 수소경제는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며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가 간 기술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같은 분위기에 한국과 호주는 상호보완적인 수소경제 협력이 이뤄질 것으로 점쳐진다. 국내 수소 생태계 구축이 기업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만큼 협력은 국가, 기업을 넘어선 초월적이고 포괄적인 방향이 될 가능성이 높다.
호주는 그린수소 생산국이자 수출국으로 수요처를 확보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다. 특히 연료전지, 수소차, 충전소 기반시설 강점을 가진 한국 기업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
수소 사업에 속도를 내는 국내 대기업들은 그린수소 확보에 열을 올리고 있는데 호주 정부와 우리 기업과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다. 신재생 에너지 교역의 시작이 멀지 않았다는 전망이 나온다.
최규철 코트라 멜버른무역관장은 “수소경제는 이제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흐름”이라며 “수소 생산에 유리한 환경을 갖춘 호주와 활용 기술에 강점을 가진 한국이 협력한다면 양국 모두 윈윈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