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불안에 환율 상승까지…기업 체감경기 코로나 이후 '최악'
2024-12-27 09:00
12월 전산업CBSI, 2020년 9월 이후 최저치
"소비 위축되며 비제조업 기업심리 영향 커"
"소비 위축되며 비제조업 기업심리 영향 커"
기업들의 체감 경기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악 수준으로 얼어붙었다.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정치 불안과 원·달러 환율 상승, 통상환경 악화 우려가 겹친 영향이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2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 대비 4.5포인트 하락한 87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첫 해였던 2020년 9월(83) 이후 가장 낮다. 하락폭 역시 2023년 1월(-5.6포인트) 이후 최대 기록이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중 주요지수(제조업 5개, 비제조업 4개)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장기평균치(2003~2023년)를 기준값 100으로 두고 100보다 크면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CBSI는 지난 6월(95.7) 고점을 찍은 이후 9월(91.2)까지 세 달 연속 하락하다가 10월(92.1) 반등한 바 있다. 트럼프 당선인의 미국 대선 재선 소식이 들려온 11월에는 91.5로 하락했고, 이달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확대하자 90선을 하회했다.
12월 제조업CBSI는 전월(90.6)에 비해 3.7포인트 하락한 86.9로 집계됐다. 2022년 9월(-5.6포인트) 이후 최대 낙폭이다. 업황(-1.3포인트) 및 자금사정(-1.3포인트)이 주요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87.1) 역시 채산성(-1.5포인트), 자금사정(-1.5포인트) 악화와 함께 5포인트 하락했다. 2023년 10월(-7.4포인트) 이후 낙폭이 가장 컸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정치 불확실성 확대 등에 환율이 급등하면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애로를 겪는 부분이 화학·자동차 업종 관련 기업들의 응답에 반영된 것 같다"며 "미국 새 정부 출범에 따른 보호무역 기조 강화, 중국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나 경쟁 심화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내년 1월 기업심리지수 전망은 전산업(82.4), 제조업(85.2), 비제조업(80.3)이 이달 전망치보다 각 7.3포인트, 3.7포인트, 10포인트 떨어졌다. 특히 비제조업 전망치의 하락 폭은 2020년 4월(-23.5포인트) 이후 4년 8개월 만에 최대치다.
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경제심리지수(ESI)는 9.6포인트 급락한 83.1로 나타났다. 2020년 3월(-21.2포인트) 이후 4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이다.
황 팀장은 "12월 초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으로 소비가 위축되면서 비제조업 기업 심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며 "이번 조사 기간(12월 11∼18일)을 고려할 때 탄핵안 가결 등의 영향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불확실성이 다음 달 전망에까지 반영됐다"고 말했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2월 기업경기조사 결과 및 경제심리지수(ESI)'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 대비 4.5포인트 하락한 87로 집계됐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첫 해였던 2020년 9월(83) 이후 가장 낮다. 하락폭 역시 2023년 1월(-5.6포인트) 이후 최대 기록이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중 주요지수(제조업 5개, 비제조업 4개)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장기평균치(2003~2023년)를 기준값 100으로 두고 100보다 크면 낙관적임을,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CBSI는 지난 6월(95.7) 고점을 찍은 이후 9월(91.2)까지 세 달 연속 하락하다가 10월(92.1) 반등한 바 있다. 트럼프 당선인의 미국 대선 재선 소식이 들려온 11월에는 91.5로 하락했고, 이달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확대하자 90선을 하회했다.
12월 제조업CBSI는 전월(90.6)에 비해 3.7포인트 하락한 86.9로 집계됐다. 2022년 9월(-5.6포인트) 이후 최대 낙폭이다. 업황(-1.3포인트) 및 자금사정(-1.3포인트)이 주요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87.1) 역시 채산성(-1.5포인트), 자금사정(-1.5포인트) 악화와 함께 5포인트 하락했다. 2023년 10월(-7.4포인트) 이후 낙폭이 가장 컸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정치 불확실성 확대 등에 환율이 급등하면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애로를 겪는 부분이 화학·자동차 업종 관련 기업들의 응답에 반영된 것 같다"며 "미국 새 정부 출범에 따른 보호무역 기조 강화, 중국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나 경쟁 심화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내년 1월 기업심리지수 전망은 전산업(82.4), 제조업(85.2), 비제조업(80.3)이 이달 전망치보다 각 7.3포인트, 3.7포인트, 10포인트 떨어졌다. 특히 비제조업 전망치의 하락 폭은 2020년 4월(-23.5포인트) 이후 4년 8개월 만에 최대치다.
BSI와 소비자동향지수(CSI)를 합성한 경제심리지수(ESI)는 9.6포인트 급락한 83.1로 나타났다. 2020년 3월(-21.2포인트) 이후 4년 9개월 만에 가장 큰 낙폭이다.
황 팀장은 "12월 초 비상계엄 사태에 따른 정치 불확실성으로 소비가 위축되면서 비제조업 기업 심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며 "이번 조사 기간(12월 11∼18일)을 고려할 때 탄핵안 가결 등의 영향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불확실성이 다음 달 전망에까지 반영됐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