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수산업 위기, "포스트 코로나, 한국판 뉴딜"로 극복한다!

2020-05-12 10:28
해수부에 국제수산물도매시장 활성화 등 정부정책과 연계 추진 요청

부산시가 수산업 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의 포스트 코로나와 뉴딜 정책과 연계해 줄 것을 해양수산부에 요청했다. [사진=부산시 제공]

한・일 어업협정이 2016년 6월 결렬된 이후 현재까지 외교적인 문제로 타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어 부산지역 수산업계는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로 인해 기존 근해어업의 경우 어장의 20% 정도를 잃었다. 수산물 제조가공 및 유통업계 또한 자유무역협정(FTA) 이후 경쟁적으로 쏟아져 들어오는 수입 수산물과의 가격 경쟁력에서 열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현재 상황을 부산지역 수산업계의 위기상황으로 엄중히 인식하고 자체 위기 대응계획을 수립해  정부의 'POST 코로나' 및 '한국판 뉴딜' 정책과 연계 추진해 줄 것을 해양수산부에 지난 8일 건의했다.

부산시가 해수부에 건의한 내용을 살펴보면 근해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회생 기금' 마련의 필요성을 건의하면서, 제로금리와 무이자로 어선과 어업허가를 담보로 한 무이자 5년 거치 15년 분할상환의 획기적인 조건으로 5천 억 원의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어업구조 개선, 1인 기업(1척 운영)의 적극적인 인수합병(M&A),공유재인 물고기와 정부정책, 개인사업자 간의 이해조정 등을 위한 '심리대책' 도입, 'R&D 및 기업 지원' 분야 강화, 국제수산물도매시장 시설 노후화 및 국내외적 거래 여건 변경 등 능동 대응, 동남경제권 산지 거점 물류센터 구축, 등을 정부 정책과 연계해 추진해 줄 것을 해수부에 요청했다.

부산시는 지난해 수립된 수산업 어촌발전 2030 계획이 정부정책과 연계돼 잘 추진된다면 어업인 1인 소득은 3만 불에서 6만 불로, 수산산업 총매출액은 22조에서 40조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수산분야 경제규모도 매출 100억원 이상 글로벌 수산기업은 220개에서 500개로, 수산물 교역 규모는 23억 달러에서 40억 달러로, 연근해 수산물 생산량은 26만 톤에서 29만 톤으로 각각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에 발굴 건의된 과제의 실행력 확보를 위해 업계 및 관련 분야 전문가들은 물론이고 해수부와도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코로나 대유행 및 세계 경제 침체 등 위기 상황 이전인 2019년 2월에 수립된 4차 산업 혁명 시대 대비 '부산 수산업・어촌혁신발전 2030 계획(Busan Fisheries 4.0)'은 올해 8월까지 기존 골격은 유지하돼 현 위기 상황에 맞게 전문가 자문 등을 거쳐 추가 수정・보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