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에도 지난해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 100조 늘었다

2018-01-11 09:57
- 강남권 재건축 중심으로 가격 상승 이어져…상승폭은 비강남권이 더 커

서울 강남구의 한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아주경제 DB]


정부가 지난해 부동산시장 안정화를 위해 내놓은 각종 대책에도 불구하고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이 100조원 가까이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서울 아파트 시가총액은 약 867조602억원으로 2016년(767조2597억원) 대비 13.0%(99조8005억원) 늘었다.

정부의 '8·2 부동산 대책' 등 강도 높은 규제에도 강남권 재건축을 중심으로 가격 상승이 이어지면서 시가총액이 급증한 것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강남구의 아파트 시가총액이 2016년(123조1406억원) 대비 13% 늘어난 139조5937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압구정 현대 아파트 전용면적 84㎡는 지난해 실거래가가 20억원을 넘어서는 등 재건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가격이 뛰었다.

강남구에 이어 송파구가 지난해 말 기준 시가총액 102조4099억원으로 전년(84조617억원)과 비교해 21.8% 늘면서 100조원대 시대를 새로 열었다.

서초구의 시가총액도 2016년과 비교해 12.2% 증가한 98조3836억원으로 100조원 돌파를 눈앞에 뒀다.

시가총액의 상승폭은 강남권이 아닌 도심권 아파트에서 더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종로구의 경우 2016년 4조7756억원이던 시가총액이 지난해 7조902억원으로 48.5%나 늘었다. 지난해 2월 입주한 2533가구 규모의 경희궁 자이의 영향이 컸다. 해당 아파트 전용면적 85㎡는 현재 시세가 13억원에 달한다.

중구의 아파트 시가총액(8조6553억원)은 2016년 대비 20.1% 늘었으며, 성동구(36조7126억원)도 19.3%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