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칼럼] 국내 전기차 활성화를 위해 꼭 해야할 일

2017-06-25 18:35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


전기차의 위세가 심상치가 않다. 글로벌 메이커들이 다수의 전기차를 개발·보급하겠다는 발표는 식상할 정도로 많아지고 있다. 전기차는 단순한 미풍이 아닌 자동차의 주류로 들어왔다고 할 수 있다.

전기차는 전 세계 연간 차량 판매 약 9500만대 중 아직 100만대에 그치는 미미한 숫자이나 500만대 이상 판매돼 완전한 주도권을 쥐는 시기가 머지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구 온난화 등 국제적 환경 기준이 강화되면서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의 목표대로 추진한다면 전기차는 연말에 총 3만대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판매하는 전기차 1만4000대에 작년 잉여분 4000대가 추가돼 1만8000대가 판매 가능하다. 부족한 충전 인프라도 설치 속도를 높이고 있어 내년 후반에는 전국적으로 충전이 가능한 시스템 구축이 예상된다.

특히 내년 후반에는 한번 충전에 300㎞ 내외가 운행 가능한 전기차가 국내외에서 다양하게 출시되면서 소비자가 불편한 부분이 많이 사라질 수 있다. 내년 말을 ‘전기차의 빅뱅’이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전체 전기차 보급대수의 과반을 차지하는 제주도는 당연히 전기차의 메카가 되는 것이 확실한 만큼 다양한 전기차 애프터마켓의 준비와 시작점으로 만전을 기해야 한다.

그러나 전기차 보급이나 확산은 국내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다. 유럽이나 미국, 일본은 물론 중국보다 뒤진 보급과 확산전략, 여기에 긍정적인 홍보 이미지 등 다양성에서 부족한 부분이 많다. 매진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우선, 아파트 같은 집단 거주지가 도심지의 경우 약 70%에 이를 정도로 집중되어서 공용 주차장을 활용한 심야용 완속 충전기 설치장소 확보가 어렵다. 이 부분은 일본 등도 같은 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으나 최근 국내에서 모바일 충전기를 이용한 해결 방안이 나오면서 해결점을 찾아가고 있다.

두 번째로, 소비자가 쉽게 전기차를 활용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 종합 컨트롤 센터의 확보다. 전기차 운전자가 가장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바로 충전 시설이다. 여기에 세 가지나 되는 충전 종류로 자신의 전기차에 맞는 충전장치를 찾아야 한다. 정부에서는 모든 민·관용 충전 시설을 통합해 관리하고 이를 토대로 운전자에게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는 종합 컨트롤 센터를 완성해야 한다.

세 번째로, 충전기 관리 예산의 별도 확보이다. 현재는 충전기 설치를 늘려가고 있으나 이에 못지않게 충전시설의 지속적인 관리는 더욱 중요하다.  일본은 6000기가 넘는 급속충전기를 포함하여 2만2000기가 넘는 충전시설을 가지고 있다. 계속 충전 시설을 늘려가면서 중앙정부에서 별도로 충전기 관리예산을 5년 단위로 책정해 전국의 민·관 충전기 시설을 관리하는 데 보태준다. 그 많은 충전 시설 중 하나도 고장 난 충전기가 없는 것은 우리가 꼭 배워야 하는 필수사항이다. 

전기차가 우리의 미래 먹거리로서 확실히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국내는 작은 시장이나 확실한 테스트 베드로서 더욱 중요한 시작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