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부회장 "정부, 긴급조정권 발동해 현대차 파업 마무리해야"

2016-09-29 09:24

김영배 경총 상임부회장[사진제공=한국경영자총협회]


아주경제 이소현 기자 = 김영배 한국경영자총협회 상임부회장이 29일 정부에 조속히 긴급조정권을 발동해 현대자동차 파업을 마무리하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부회장은 이날 열린 경총포럼 개회사에서 “올해 들어 현대자동차 노조는 이미 22차례나 파업을 진행했으며 이로 인해 12만1000여대, 2조7000여억원의 매출손실이 발생했다”며 “특히 1차 협력업체 380개사에서 1조3000여억원의 매출 손실이 발생하는 등 수많은 중소 협력업체들이 생존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부회장은 현대차의 높은 평균 연봉에도 불구하고 올해 노사간 도출한 임금협상 잠정합의를 부결시키고 추가 임금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에 돌입한 점을 지적했다.

그는 “현대차 노조는 평균 연봉이 9600만원으로 국내 최고수준”이라며 “올해 교섭에서 조합원 1인당 평균 1500만원 이상의 일시금 지급 등에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임금을 요구하며 노사 합의안을 부결시켰다”고 비판했다.

독일과 일본 등 자동차 강국과 비교해 한국의 고비용 저효율 구조도 지적했다.

김 부회장은 “현대차는 매출액 대비 직접 인건비 비율이 2000년 7.2%에서 2015년 14.3%로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며 “이는 도요타 등 일본 자동차 기업에 비해 두 배가 넘는 수치”라고 설명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인당 인건비는 높은 반면 생산성은 일본, 독일 업체에 비해 낮았다. 지난해 한국 자동차업계 5개사 평균임금은 9313만원으로 도요타(7961만원), 폭스바겐(7841만원)보다 17~19%가량 높았다. 차 한 대를 생산하기 위해 투입되는 시간도 국내 5개사 평균은 26.4시간으로 도요타(24.1시간), 폭스바겐(23.4시간) 보다 높아 낮은 생산성을 나타냈다.

김 부회장은 “2014년 기준으로 퇴직급여, 복리후생 비용 등 간접인건비까지 포함한 우리나라 제조업 전체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율이 9.9%라는 점을 고려하면 직접인건비 비중이 14%가 넘는 것은 경쟁력 측면에서 회사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을 이미 넘어서는 것으로 심각한 위협 요인”이라며 “이 수치로 본다면 한국 자동차 산업이 향후 어떤 방향으로 갈지 우려가 크다”고 토로했다.

김 부회장은 “현대차 근로자들은 강경한 노선의 노동조합이 타결한 합의안도 부결시키는 등 이기주의적 행태의 극단을 보이고 있어 이제 국가와 시장이 인내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선 것이 아닌가 하는 자괴감에 빠진다”며 “매년 습관적으로 반복되는 강성노조의 파업으로 인한 폐해를 막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유일하게 금지되어 있는 쟁의 행위시 대체근로를 허용해 노사관계 선진화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