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울한 수출전선, 끝날때까지 끝난게 아니다…"이란과 인도行"

2016-03-03 16:22
수출, 14개월 연속 '뒷걸음'…역대 최장 기간 '마이너스'
그럼에도 스마트폰 신제품 출시 등 효자 품목 일조
중국을 대신할 수출 전략시장 진출…이란에 이은 인도

인천항 부두 컨테이너 전경.[사진=아주경제신문DB]


아주경제 이규하·송종호 기자 =한국 수출이 침체국면을 벗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주력품목의 감소폭 둔화 등 수출 회복의 기대감은 여전하다. 특히 한·이란의 경협채널 구축에 이어 한·인도 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등 新(신)시장 창출은 수출 가뭄 속 단비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3일 정부와 수출기관 등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이후 14개월 연속 수출이 뒷걸음치는 등 역대 최장 기간의 마이너스 성장세다. 그나마 컴퓨터(2.8%), 무선통신기기(6.2%), 일반기계(2.4%) 등 주요 품목 일부가 증가세로 돌아서는 등 수출 감소 폭 둔화에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세계 경기둔화와 유가 하락 등의 요인에도 갤럭시S7 등 신제품 출시와 PC 교체 수요 증가에 따른 컴퓨터, 일반기계류 등 효자 품목이 수출에 일조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지난해 말 발효된 한-중 자유무역협정(FTA)도 최근 주춤한 중국 수출에 반전을 일으킬 기회로 지목되고 있다.

무엇보다 한-중 FTA 효과에 따른 중국 수출에 총력을 구사하되, 한·인도 등 신시장 확장을 수출 돌파구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달 열린 한·이란 경제공동위원회 등 경협 채널 구축도 국내 수출제조업들로서는 어려움을 해소할 긍정적인 시그널인 셈이다.

하지만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 중국 침체를 대비해 수출 주력시장의 이동도 고민할 부분이다. 즉, 중국을 대신할 수 있는 수출 전략시장으로 '포스트 차이나' 인도가 주목을 받고 있다.

기업들도 중국 시장에 이어 인도를 차기 유망시장으로 보고 있지만 보호무역 강화 등 녹록지 않은 현실이 발목을 잡고 있다. 정부로서도 2010년 발효한 한-인도 CEPA 등 양국 통상협력 확대에 기대를 표명하고 있지만 타 FTA에 비해 낮은 양허율 및 엄격한 원산지 기준 등은 풀어야 할 과제다.

인도가 주요 신흥시장이라는 점을 고려해 정부의 협상 전략 수립이 그 만큼 중요해졌다는 의미다. 3일 무역센터에서 열린 한-인도 CEPA 개선과 관련한 공청회에서도 원산지 결합기준 등 CEPA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정부 측은 공청회를 통해 제기된 다양한 의견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등 한-인도 CEPA 개선 추진 방향에 대한 입장을 결정할 방침이다. 이 밖에 ‘통상조약의 체결 및 이행에 관한 법률’에 따라 국회 보고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민철 산업통상자원부 통상협력심의관은 “2010년 발효한 한-인도 CEPA가 양국 통상협력확대에 기여해왔지만 타 FTA에 비해 낮은 양허율 및 엄격한 원산지 기준, 일-인도 CEPA 발효 등에 따른 통상환경 변화에 따라 개선이 필요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 심의관은 이어 “개정된 한-인도 CEPA가 통상부문을 포함한 양국 경제협력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킬 수 있도록 양국이 성실히 협상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