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원자력 안전 협력 '절실'…"평화협력 이니셔티브 필요"

2015-08-26 15:07
원자력안전 R&D 협력체계 강화…한·중·일 안전협력 절실
동북아 원자력안전협력 심포지엄, 고위급 규제자회의(TRM) 확대

26일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동북아원자력안전 협력 국내 심포지엄을 통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사진=한국원자력문화재단 제공]


아주경제 이규하 기자 =오는 2030년 약 200여기의 원자력이 동북아에 구축되는 등 원전 확대에 따라 한·중·일 안전협력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동북아 안전장치를 위한 한·중·일 고위급 회의(TRM) 등 평화협력 이니셔티브가 제시되고 있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2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동북아 원자력안전협력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동북아 및 여타 지역에서의 원자력 안전 협력 현황 및 사례를 진단하고 동북아 원자력 안전협의체의 필요성 등 원전안전을 위한 협력체계 구축방안이 토론됐다.

주철기 청와대 외교안보 수석은 기조연설을 통해 “원자력 안전에 대한 국민 신뢰 확보를 위해서는 국내 뿐 아니라 주변국간의 원자력 안전에 대한 상호신뢰가 필요하다”며 “국가 간 다자협력체를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는 국민들의 적극적인 공감대와 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근모 한국전력 고문은 “오늘 이 자리에서 논의하는 원자력과제가 동북아 평화 체제의 실질적 동력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면서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의 조화적인 관계를 이루는 등 기후변화의 해결책을 찾아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윤원 KAIST 원자력양자공학과 교수는 “한·중·일 3국이 힘을 합쳐야 동북아지역이 세계 원자력계의 리딩 역할을 효율적으로 해나갈 수 있다”고 제시했다. 백원필 원자력연구원 원자력안전본부장은 “여러 제약요인에도 불구하고 동북아 지역의 원자력안전 R&D 협력체계의 강화는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김호성 원자력문화재단 이사장은 “광복 70주년을 맞아 우리나라가 지금처럼 고도성장을 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원자력발전을 통해 질 좋고 안정적인 전력공급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원자력안전 협력이 동북아 평화와 번영을 향한 ‘뉴-클리어(New-Clear) 로드’를 여는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소감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