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증시] 2월 첫 거래일 2.56% 하락마감, 민생은행 악재 등 영향

2015-02-02 17:30
중국 증시 다시 3100선 근접, 금융계 사정바람 경기악화 등 악재 영향

[사진=중국신문망 제공]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중국 증시가 2월 첫거래일인 2일 '순조로운' 스타트에도 불구, 민생은행에 반(反)부패 칼날이 겨눠졌다는 소식 등 각종 악재로 3100선에 근접, 하락 마감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직전거래일 대비 82.06포인트(2.56%) 하락한 3128.30으로 장을 마감했다. 블랙먼데이로 3300선에서 3100선까지 급락, 다시 3300선을 회복한 중국 증시는 지난주부터 이어진 하락세로 다시 3100선에 근접했다.

선전성분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187.56포인트(1.68%) 떨어진 10963.14로 거래를 마쳤다. 상하이·선전 두 거래소 거래량은 각각 2668억5000만 위안(약 47조원), 1998억7900만 위안에 그쳤다.

이날 하락세는 각종 악재와 호재의 혼재 속에 이뤄졌다. 우선 지난주 마지막 거래일인 1월 30일(현지시간) 미국 증시가 하락 마감하는 등 글로벌 경제환경 악화가 악재가 됐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1일 발표한 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28개월래 최저치인 49.7을 기록해 시장에 충격을 줬다. 경기 위축 및 확장 국면을 판단하는 기준선, 50마저 밑돌면서 중국 경기하방 압력이 갈수록 뚜렷해짐을 여실히 반영했다.

이날 중국 증시의 가장 큰 악재는 중국 최초 민영은행인 민생은행, 마오샤오펑(毛曉峰) 은행장이 부패혐의로 낙마했다는 소식이었다. 이는 증시가 예상치 못한 악재, 블랙스완으로 이날 낙폭을 키웠다.

마 은행장의 낙마는 시진핑(習近平) 지도부의 사정칼날이 이제 금융계로 향했다는 의미로 해석되면서 시장의 불안감을 키웠다. 이에 일각에서는 민생은행 블랙스완으로 2일 중국 증시의 '블랙 먼데이'가 다시 연출될 것이라는 추측까지 제기됐다.

하지만 각종 호재도 이어지면서 자칫 벌어질 수 있었던 낙폭을 줄여줬다.

중국 당국이 올해 '1호' 정책 문건을 공개, 중국 농지개혁·농촌 전자상거래 활성화 등 농업 현대화에 대한 의지를 재차 다졌으며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정치협상회의)의 구체적 일정도 공개됐다.

오는 3월 3일부터 5일까지 개최되는 양회에서 양로, 교육, 환경보호 등 민생개혁안이 제시될 것으로 기대되면서 관련 특징주가 강세를 보였다. 지난 2012년 중국 첫 항공모함인 랴오닝(遼寧)함이 공개된 이후 두 번째 항공모함 건조 소식이 나온 것도 증시에 호재로 작용했다.

은행장 비리 낙마라는 '충격'을 겪은 민생은행의 주가는 이날 3.17% 하락했다. 금융업계에 사정바람이 불 수 있다는 우려에 금융주 대부분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중국 대표 보험회사인 중국생명(601628) 주가는 6.65%, 중국평안보험(601318)과 중국태평양보험(601601)은 4.43%의 낙폭을 보였다. 증권주도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국원증권(000728), 인수합병 후 최근 상장한 공룡증권사 신만굉원(000166) 등이 각각 6.67%, 7.36%씩 큰 폭으로 주가가 밀려났다. 흥업증권(601377)도 4.13% 급락했다.

중국 증시 전문가들은 "단기적 급락 및 조정은 증시에서 사실 매수의 기회"라며 "단기적 변동 속에서 환경보호, 미디어, 원자력 등 성장잠재력이 있는 특징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동시에 "변동 리스크 확대를 우려하기보다는 낙관 전망을 확신하는 장기적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