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니의 무너진 성장전략, 스마트폰 부진으로 2조원 적자 전망

2014-09-18 11:17

[사진=한준호 기자]


아주경제 한준호 기자 = 소니는 17일 2014년 4월에서 2015년 3월까지의 실적 전망을 하향조정하면서 1958년 상장 이래 첫 주식 무배당을 발표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소니는 중국 업체와의 경쟁 심화로 부진이 계속되는 스마트폰 사업 부문의 1800억엔(약 1조7262억원)의 손실이 발생하고 최종적자는 당초 예상했던 500억엔(약 4795억원)에서 2300억엔(약 2조2057억원)으로 확대됐다.

또 전자부문의 핵심인 스마트폰 사업의 재구축을 위해 1000명 규모의 인원삭감 방침을 밝혔다.

소니의 최종적자는 미국발 리먼쇼크 직후인 2009년 이후 6년째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적악화 후에도 주식배당은 계속해왔으나 주식배장보다 재무개선을 우선시해야할 처지에 놓였으며, 히라이 가즈오(平井一夫) 소니 CEO는 “경영진으로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고 사죄했다.

이번 소니의 실적 전망 하향조정의 가장 큰 이유는 스마트폰 사업의 부진에 있다.

2014년 2분기(4월~6월) 출하대수는 20% 증가해 소니가 출시한 ‘엑스페리아’가 인기를 얻고는 있으나 압도적인 브랜드파워를 자랑하는 미국 애플의 ‘아이폰6’ 출시와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스마트폰에 밀리고 있는 추세다.

소니는 지난 7월말에 스마트폰 판매대수 계획을 4300만대(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에서 700만대 줄였다. 저가폰을 앞에서 시장을 공략하는 중국업체와 애플의 ‘아이폰6’ 출시로 인해 소니의 스마트폰 판매는 부진을 면치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또 스마트폰 부문의 부진으로 게임 부문과 센서 부문을 합산한 전자부문 전체 적자도 500억엔(약 4795억원)을 넘을 것으로 보인다.

소니는 PC부문 ‘바이오(VAIO)’를 매각하고, TV부문을 분리시키면서 흑자를 목표로 세웠지만 그 중심에 있던 스마트폰 부문의 부진이 발목을 잡고 있는 형국이다.

스마트폰 부문의 구조조정은 전체 7000면의 종업원 중 1000명을 삭감할 예정으로 이는 전체 종업원의 15%에 달한다.

한편 소니는 본사와 해외 판매사의 인원삭감 등으로 1350억엔(약 1조2946억원)의 구조개혁 비용이 발생했으며 이번 스마트폰 분야 인원삭감으로 추가적인 비용이 더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소니는 성장전략을 위해 스마트폰 사업을 핵심으로 삼았으나 이 전략을 재검토할 필요성에 놓였다. 스마트폰 부문의 2013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55% 증가해 소니의 성장전략의 견인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됐으나 애플의 아이폰과 중국업체에 밀리면서 2013년과 같은 성장 시나리오를 더 이상 그릴 수 없게 됐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조사에 따르면 2014년 2분기(4월~6월) 스마트폰 세계 점유율은 삼성(31.4%), 애플(11.9%), 레노버(8.1%), LG(5.7%), 화웨이(5.3%), 샤오미(4.5%), 소니(4.4%)로 소니는 7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