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중국 투자 42% 감소...양국 갈등국면 영향

2014-06-18 14:44

 

17일(현지시간) 중국 상무부 선단양 대변인이 올해 1~5월 외국인의 대(對)중국 직접투자(FDI) 관련 내용을 기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사진 = 중궈신원왕]



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최근 역사 및 영토문제로 악화되고 있는 중국과 일본 관계가 경제적인 영역에도 파급효과를 불러오면서 올해 5개월간 일본 기업의 중국 투자가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17일 중국 상무부는 올해 1~5월 외국인의 대(對)중국 직접투자(FDI) 가운데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자금은 42.2% 줄어든 약 20억 달러(약 2조 462억원)에 그쳤다고 발표했다. 

같은 기간 중국의 FDI 실적 총액(금융기관 제외)은 489억1000만 달러로 2.8% 증가했다. 이 중 대중국 투자액 10위권 국가(홍콩, 대만, 싱가포르, 한국, 일본,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버뮤다제도)의 투자액은 460억8000만 달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외국인이 투자해 새로 설립된 기업은 총 8744개로 전년동기대비 1.6% 증가했다. 실제 활용된 외자는 3010억9000만 위안으로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8%늘었다.

일본을 비롯해 미국과 유럽연합(EU) 28개국의 대중국 투자가 각각 전년동기대비 9.3%, 22.1% 줄었다. 남중국해 영토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들의 투자 또한 22.3%나 하락했다.

반면, 한국과 영국으로부터의 투자율은 각각 87.9%, 62.2%를 기록, 크게 증가했다.

일본의 중국 투자가 감소한 것은 중국의 인건비가 크게 상승한 데다 최근 양국 관계가 악화된 데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열도 분쟁을 비롯해 일본 역사왜곡에 대한 중국 정부의 국제적 비난공세까지 더해지면서 양국의 갈등이 점차 악화되고 있다. 

중국 상무부 선단양(沈丹陽) 대변인은 "중국 시장은 규모가 확대되고 있고 외국인 투자 유치의 힘이 커지고 있다"며 "정치 관계의 악화가 투자에 확실히 영향을 주고 있다. 쌍방에게 불이익이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