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물가 급등기에 저렴한 상품의 가격이 더 크게 상승하면서 취약계층의 부담이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향후 물가 상승이 높은 시기에 중·저가 상품의 가격 안정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18일 한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BOK 이슈노트 : 팬데믹 이후 칩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불평등'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 저가 상품의 가격이 고가 상품의 가격보다 더 크게 상승하는 '칩플레이션(Cheapflation)'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한은이 대한상공회의소의 가공식품 판매정보를 추출해 분석한 결과, 2020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1분위 저가상품 누적 가격 상승률은 16.4%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4분위 고가상품은 5.6%에 그쳤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을 살펴보면 팬데믹 이전에는 분위 간 상승률의 격차가 미미했지만 인플레이션 급등기에는 저가 및 고가 상품 간 상승률 격차가 크게 확대됐다. 2023년부터는 디스인플레이션(물가 하락)의 진전으로 1분위 상품의 가격상승률이 빠르게 둔화되며 상승률 격차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한은은 국내 칩플레이션이 주로 수입 원자재 가격의 급격한 상승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했다.
저가 상품의 제조 과정에서는 국내산 재료보다는 가격이 비교적 낮은 수입 원자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 병목, 러·우 전쟁이 촉발한 수입 원자재 가격 급등이 저가 상품의 판매 가격에 상당 부분 전가됐다는 설명이다.
고인플레이션 시기에 수요가 저렴한 상품으로 전환된 것도 칩플레이션을 유발했다. 일반적으로 가계는 고인플레이션 시기에 기존 소비하던 상품과 비슷하지만 더 싼 상품을 구매하거나, 같은 상품이더라도 더 싸게 판매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소비 행태를 보인다.
한은은 칩플레이션이 가계 소득계층 간 실효물가의 격차를 벌림으로써 인플레이션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조강철 한은 물가동향팀 차장은 "상품의 가격 분위별로 상승률이 상이하다면 각 소득계층의 실효물가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 2019년 4분기부터 2023년 3분기까지 하위 20% 저소득층 실효물가의 누적 상승률(13%)은 상위 20% 고소득층(11.7%)에 비해 1.3%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조 차장은 "팬데믹 시기 칩플레이션이 나타났다는 것은 저소득층이 고소득층에 비해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했음을 의미한다"며 "향후 인플레이션이 높은 시기에 특히 중·저가 상품의 가격안정에 집중함으로써 취약계층의 부담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18일 한은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BOK 이슈노트 : 팬데믹 이후 칩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불평등'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 저가 상품의 가격이 고가 상품의 가격보다 더 크게 상승하는 '칩플레이션(Cheapflation)'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한은이 대한상공회의소의 가공식품 판매정보를 추출해 분석한 결과, 2020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1분위 저가상품 누적 가격 상승률은 16.4%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4분위 고가상품은 5.6%에 그쳤다.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을 살펴보면 팬데믹 이전에는 분위 간 상승률의 격차가 미미했지만 인플레이션 급등기에는 저가 및 고가 상품 간 상승률 격차가 크게 확대됐다. 2023년부터는 디스인플레이션(물가 하락)의 진전으로 1분위 상품의 가격상승률이 빠르게 둔화되며 상승률 격차가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저가 상품의 제조 과정에서는 국내산 재료보다는 가격이 비교적 낮은 수입 원자재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 병목, 러·우 전쟁이 촉발한 수입 원자재 가격 급등이 저가 상품의 판매 가격에 상당 부분 전가됐다는 설명이다.
고인플레이션 시기에 수요가 저렴한 상품으로 전환된 것도 칩플레이션을 유발했다. 일반적으로 가계는 고인플레이션 시기에 기존 소비하던 상품과 비슷하지만 더 싼 상품을 구매하거나, 같은 상품이더라도 더 싸게 판매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소비 행태를 보인다.
한은은 칩플레이션이 가계 소득계층 간 실효물가의 격차를 벌림으로써 인플레이션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조강철 한은 물가동향팀 차장은 "상품의 가격 분위별로 상승률이 상이하다면 각 소득계층의 실효물가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 2019년 4분기부터 2023년 3분기까지 하위 20% 저소득층 실효물가의 누적 상승률(13%)은 상위 20% 고소득층(11.7%)에 비해 1.3%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조 차장은 "팬데믹 시기 칩플레이션이 나타났다는 것은 저소득층이 고소득층에 비해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경험했음을 의미한다"며 "향후 인플레이션이 높은 시기에 특히 중·저가 상품의 가격안정에 집중함으로써 취약계층의 부담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