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금융위에 따르면 김 부위원장은 지난 13일 금융권, 신용평가사, 학계 전문가들과 함께 연 '금융시장 현안점검·소통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채권·단기자금시장 안정을 위한 재원이 지난달 말 기준 27조원 이상 충분히 남아있다"면서 "내년 초에는 공급 가능 재원이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부위원장은 현재 운영 중인 총 40조원 규모의 채권·단기자금시장 안정 프로그램이 내년 말까지 운영되도록 조처했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말 기준 채권시장안정펀드 약 14조4000억원, 정책금융기관 회사채, 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 약 8조1000억원 등 채권·단기자금 시장 안정을 위한 재원이 여유롭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내년 초 2조8000억원 규모의 프라이머리채권담보부증권(P-CBO) 공급프로그램이 가동되면 공급가능 재원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며 필요한 경우 기존 프로그램의 규모를 신속히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내년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과 관련해 중국산 메모리 반도체와의 경쟁 심화,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보조금 철회 가능성 등 일부 위험 요인들이 있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분야에서의 기술 지배력, 중국 정부 경기부양에 따른 스마트폰, PC 등 범용 제품 수요 회복 가능성을 고려할 때 양호한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석유화학 산업과 관련해서는 최근 중국의 설비증설과 자급률 확대, 중동 국가 등 새로운 경쟁자의 등장 등으로 업황이 부진한 측면이 있었지만, 내년에는 지정학적 상황 변화에 따른 우리 기업들의 가격경쟁력 회복 가능성, 인도·동남아시아 등 신시장의 가파른 성장 등 기회요인이 있는 만큼 그간의 부진을 만회할 기회가 열려 있다고 전망했다.
참석자들은 관세부과, 보조금 폐지 등 트럼프 2기의 미국 경제정책 변화와 우리나라 주력산업에서 중국과 경쟁 심화 등이 향후 주요 산업의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부위원장은 "당장의 충격을 극복한 이후 경기하방 위험과 경제 구조적 문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가 중요하다는 면에서 내년이 한국경제에 있어 매우 중요한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정부가 해야 할 일, 할 수 있는 일은 최선을 다해 차질 없이 진행하고 있고 연말 이전에 내년도 정책금융 공급계획도 발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