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비철금속 등 국내 주력 산업에 주로 쓰이는 원자재와 국가 경제의 근간인 에너지 가격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어 관련 산업의 수익성 악화 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크다.
14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 따르면 조사 대상 237개 품목 중 지난달 수입물가가 전월 대비 오른 품목 수는 182개(76.8%)에 달했다. 가격이 내린 품목은 34개(14.3%)에 그쳤다.
광산품이 4.4% 올랐고 석탄·석유제품(4.1%), 1차 금속제품(2.9%), 전기장비(2%) 등도 모두 상승했다.
아연정련품(11.4%), 아연광석(11.3%), 철광석(9.1%), 금은광석(7.8%), 니켈괴(6.3%), 알루미늄정련품(5.7%), 동정련품(5.4%) 등 1차 금속제품·광산품 가격 상승세도 두드러졌다.
이문희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국제 유가와 환율 상승 효과로 10월 수입 물가가 상승했다"며 "11월 들어 유가는 소폭 하락했지만 환율이 오르고 있어 향후 수입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기조가 환율·금리·물가를 모두 높이는 '신3고(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일부 수출 기업은 원화 가치 하락으로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지만 원자재를 사들여 제품을 만들어야 하는 대부분 기업은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하다.
철강이 대표적이다. 중국발 공급과잉, 글로벌 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업황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데 고환율로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까지 더 오르면 궁지에 몰리게 된다.
비철금속 업계도 마찬가지다. 자동차·가전제품에 주로 쓰이는 아연, 배터리 생산용 니켈 등 가격 동향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전기차 시장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당선자가 환경 규제 완화와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폐지 등을 공언한 터라 관련 업계 분위기가 위축될 수밖에 없다.
액화천연가스(LNG)와 액화석유가스(LPG), 유연탄 등 에너지 수입물가가 상승 곡선을 그리는 것도 걱정이다. 전력 대부분을 공급하는 한국전력은 연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환율 상승은 곧 한전의 원가 부담으로 이어진다.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등으로 숨통이 트였던 한전에 다시 위기가 닥칠 수 있다는 얘기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환율이 오르면 중간재를 수입해 최종재를 만드는 수출 업체도 타격을 입는다"며 "미국 관세와 수입물가가 상승하는데 판매 가격을 올리지 않으면 업계 이익이 대폭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 차원에서 세제 혜택 등을 제공할 수 있으나 세수 감소와 연결된 만큼 쉽게 시행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김홍기 한국경제학회장(한남대 경제학과 교수)은 "달러 가치 상승은 전 세계 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수출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는 경제 탄력을 잃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 회장은 "미국이 중국 이차전지 규제를 강화하면 우리나라가 반사이익을 볼 수 있지만 아직은 불확실한 상황"이라며 "불확실성이 커지면 기업 경영 환경도 악화할 수밖에 없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