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상업 구조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온라인 소비 비중이 1% 상승하면 물가 상승률을 0.07%포인트 낮춘다는 연구가 나왔다. 반면 취업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9일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2017년부터 올해까지 온라인 소비가 확대되면서 소비자물가가 약 1.1% 떨어졌을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최근 내수 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도 온라인 소비는 늘어나는 추세다. 2017년 전체 소매판매액의 14% 정도를 차지했던 온라인쇼핑거래액은 올해 2분기 기준 27%로 증가했다. KDI는 해당 기간 소비 형태의 전환만으로 상품 물가가 2.4%가량 낮아졌다고 봤다. 여기에 소비자물가 중 상품의 가중치(44.8%)를 적용하면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를 약 1.1% 낮추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KDI는 "온라인 소비는 공급자 측의 비용 절감과 경쟁 촉진을 통해 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온라인 소비 비중 증가가 상품 물가를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코로나19 위기 직후 급격히 확대된 물가 상승세가 안정되는 데 일부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다만 온라인 소비 확대가 고용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소비 비중이 1%포인트 확대되면 연간 평균 취업자 수가 전년 동기 대비 3만4000명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취업자 수는 운수·창고업에서 8000명 늘어나는 반면 숙박·음식점업은 2만3000명, 도소매업은 1만9000명 각각 줄어든다는 설명이다.
특히 숙박·음식점업은 자영업자 비중이 커 노동시장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비율이 높을 수 있는 점, 폐업 후 재창업이 임금근로자의 퇴직 후 재취직보다 오래 걸리는 점에 따라 고용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도소매업보다 컸다. KDI는 "온라인 소비 확대는 고용에 일정 기간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오프라인 구매의 영향을 크게 받는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의 고용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KDI는 이 같은 고용 감소 효과를 막기 위한 정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주문했다. 김지연 KDI 전망총괄은 "전통적인 도소매업 종사자들의 온라인 판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며 "전직 사양산업 종사자에 대한 재교육을 강화해 원활한 업종 전환을 도울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고용 상황과 관련해서는 "단기간 내에 종사자들의 업종 간 이동이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며 "택배⋅물류 부문의 성장과 함께 특수고용직 등 기존과 성격이 다른 근로자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해 보다 사회안전망 구축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29일 '온라인 소비 확대가 물가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2017년부터 올해까지 온라인 소비가 확대되면서 소비자물가가 약 1.1% 떨어졌을 것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최근 내수 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도 온라인 소비는 늘어나는 추세다. 2017년 전체 소매판매액의 14% 정도를 차지했던 온라인쇼핑거래액은 올해 2분기 기준 27%로 증가했다. KDI는 해당 기간 소비 형태의 전환만으로 상품 물가가 2.4%가량 낮아졌다고 봤다. 여기에 소비자물가 중 상품의 가중치(44.8%)를 적용하면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를 약 1.1% 낮추었을 것으로 추정했다.
KDI는 "온라인 소비는 공급자 측의 비용 절감과 경쟁 촉진을 통해 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온라인 소비 비중 증가가 상품 물가를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하면서 코로나19 위기 직후 급격히 확대된 물가 상승세가 안정되는 데 일부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숙박·음식점업은 자영업자 비중이 커 노동시장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비율이 높을 수 있는 점, 폐업 후 재창업이 임금근로자의 퇴직 후 재취직보다 오래 걸리는 점에 따라 고용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도소매업보다 컸다. KDI는 "온라인 소비 확대는 고용에 일정 기간 하방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오프라인 구매의 영향을 크게 받는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의 고용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KDI는 이 같은 고용 감소 효과를 막기 위한 정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고주문했다. 김지연 KDI 전망총괄은 "전통적인 도소매업 종사자들의 온라인 판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며 "전직 사양산업 종사자에 대한 재교육을 강화해 원활한 업종 전환을 도울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고용 상황과 관련해서는 "단기간 내에 종사자들의 업종 간 이동이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며 "택배⋅물류 부문의 성장과 함께 특수고용직 등 기존과 성격이 다른 근로자들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해 보다 사회안전망 구축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