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플러스] 주담대 집어삼킨 정책대출 "대출 오름세 불가피"

2024-08-11 08:01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정책대출이 가계부채를 급증시키는 불쏘시개 역할을 하면서 대출 규제 전반에 대한 종합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책대출은 실수요 영향이 큰 상품인 만큼 미세 금리 조정 변화에도 수요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우대금리를 받기 위해서는 대출 한도 중 30%만 이용해야 하는 등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허들이 높다 보니 실제 얼마큼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렇다 보니 정부는 집값 안정을 위해 공급 위주 대책을 뒤늦게 꺼내들었고, 금융당국도 추후 전세 또는 신용대출에 대해서도 추가 규제를 내놓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글자크기 설정

정책 엇박자 속 가계부채 오름세 우려 가중

정책대출 금리 조정했지만 효과는 '갸우뚱'

당국, 추가 규제 고민하지만 수위 두고 신중

전문가 "DSR 전면 확대해 부채 누증 막아야"

사진 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정책대출이 가계부채를 급증시키는 불쏘시개 역할을 하면서 대출 규제 전반에 대한 종합적 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금리 산정 방식을 조정하는 일차원적 수단으로는 가계부채 누증을 막는 데 역부족이라는 인식에서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가 정책대출 공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다는 점에서 가계부채 리스크를 더욱 키웠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앞서 정부는 기존 디딤돌과 버팀목대출은 물론 올해 1월 새롭게 시작된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저금리 정책대출 공급을 지속하면서 이들 상품의 요건을 대폭 완화했다. 더욱이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2단계 적용 시기를 7월에서 9월로 돌연 2개월 연기했다. 이는 사실상 '빚내서 집 사라'는 잘못된 신호로 읽히면서 하반기 금리 인하 기대감과 맞물려 대출 수요를 끌어올렸다. 이미 지난해 정책금융 중심 주택담보대출은 30조원 가까이 불어나 가계빚을 늘리는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긴급히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대출 금리 조정에 나섰다. 시중은행들은 지난달 말일부터 국토교통부 지침에 따라 금리 산정 방식을 조정했다. 대출 한도 중 30% 이하로 대출 시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기한 연장 시 10% 이상 갚지 않으면 가산금리를 붙이는 식이다. 대출을 적게 받을수록, 일찍 갚을수록 더욱 낮은 금리를 제공해 대출 확대를 막아보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유의미한 대출 억제 효과가 있을지는 미지수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책대출은 실수요 영향이 큰 상품인 만큼 미세 금리 조정 변화에도 수요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우대금리를 받기 위해서는 대출 한도 중 30%만 이용해야 하는 등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허들이 높다 보니 실제 얼마큼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렇다 보니 정부는 집값 안정을 위해 공급 위주 대책을 뒤늦게 꺼내들었고, 금융당국도 추후 전세 또는 신용대출에 대해서도 추가 규제를 내놓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취임 일성으로 가계부채 관리를 강조하면서 "시장 상황을 보며 추가 조치가 있는지 등을 들여다보겠다"고 언급했다.

다만 전세대출은 규제 강화로 인해 자칫 서민·실수요자 주거 안정이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금융당국은 대출 문턱을 높이는 데 신중한 태도다. 가계부채 폭증을 막기 위한 강력한 조치 중 하나인 총량규제 도입에도 부정적인 견해를 내비쳤다. 김 위원장은 "정량적인 기준을 가지고 조치를 하는 게 경험상 적절하지 않았고 맞지도 않다고 본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결국 총량규제보다는 핀셋 규제 또는 DSR 제도 내실화 등에 더욱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대출 억제를 위해 보다 강력한 규제를 꺼낼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은행권에서도 금리를 계속 올리고 있지만 대출 오름세를 막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결국 부채 총량을 조절해야 한다. DSR 규제를 전면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