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탄탄한 수출에 기반해 연간 2.5% 성장이 가능하다고 봤지만 문제는 위축된 내수 지표다. 기준금리 인하로 내수를 살려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25일 한국은행은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2%로 집계됐다고 25일 발표했다. 분기 기준 역(-)성장은 2022년 4분기(-0.5%) 이후 처음으로 5분기 연속 이어졌던 플러스(+) 흐름이 깨졌다.
민간소비·설비투자 부진에 기저효과 '뚜렷'
2분기 역성장의 주된 원인은 민간소비와 건설투자의 부진이었다. 2분기 성장률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내수의 성장 기여도는 -0.1%포인트, 순수출도 -0.1%포인트였다. 이들 요인이 성장률을 깎아내렸다는 뜻이다.
특히 내수를 구성하는 민간 소비(-0.1%)·건설투자(-0.2%)·설비투자(-0.2%)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분기 기여도가 0.8%포인트에 이르던 순수출도 수출보다 수입이 크게 늘면서 2분기 성장률을 0.1%포인트 끌어내렸다.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2분기 -0.2%로 크게 하락했다. 투자 부문에서는 재고(0.3%)를 제외한 모든 부문(설비투자 -2.1%·건설투자 -1.1%·지식재산생산물투자 -0.5%)에서 1분기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설비투자는 상반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2.3%로 나타났다. 2분기 반도체 투자와 대규모 항공기 도입이 지연되면서 상반기 전망치(1.2%)를 큰 폭으로 밑돌았다. 건설투자는 1분기에 3.3%나 늘어 성장을 주도했지만 2분기에는 1.1% 뒷걸음쳤다.
수출은 자동차·화학제품을 중심으로 0.9% 늘었다. 하지만 에너지를 중심으로 불어난 수입 증가율(1.2%)이 수출을 웃돌았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석유화학이나 국내 내수 업황 부진, 온화한 날씨에 따른 난방수요 감소로 지난해부터 지난 1분기까지 에너지류 수입이 예년보다 적었는데 2분기 들어 정상화되면서 수입증가율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내수를 구성하는 민간 소비(-0.1%)·건설투자(-0.2%)·설비투자(-0.2%)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1분기 기여도가 0.8%포인트에 이르던 순수출도 수출보다 수입이 크게 늘면서 2분기 성장률을 0.1%포인트 끌어내렸다.
설비투자는 상반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2.3%로 나타났다. 2분기 반도체 투자와 대규모 항공기 도입이 지연되면서 상반기 전망치(1.2%)를 큰 폭으로 밑돌았다. 건설투자는 1분기에 3.3%나 늘어 성장을 주도했지만 2분기에는 1.1% 뒷걸음쳤다.
수출은 자동차·화학제품을 중심으로 0.9% 늘었다. 하지만 에너지를 중심으로 불어난 수입 증가율(1.2%)이 수출을 웃돌았다.
신승철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석유화학이나 국내 내수 업황 부진, 온화한 날씨에 따른 난방수요 감소로 지난해부터 지난 1분기까지 에너지류 수입이 예년보다 적었는데 2분기 들어 정상화되면서 수입증가율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하반기 내수가 관건…기준금리 인하 압력
한은은 2분기 역성장이 경기침체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에 대해 일축했다. 체감 경기 회복까지 이어지긴 힘들겠지만 하반기 내수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그동안 내수 회복을 짓눌렀던 고물가·고금리 요인이 완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신 국장은 "내수를 제약했던 고물가·고금리 요인이 하반기로 갈수록 완화되면서 소비와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내수는 완만한 개선세를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2분기는 연간 성장률 전망치에 부합하는 성장세"라며 "올해 하반기 2.2%, 연간으로는 2.5%의 성장률이 예상된다"고 했다.
다만 내수 회복세는 물가가 최근 흐름대로 둔화세를 이어가고 한은이 기준금리를 내린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압박이 커질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꾸준히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내수는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은 이미 10월 기준금리 인하를 염두에 둔 분위기다. 7월 기대인플레이션율(2.9%)은 2년 4개월 만에 2%대로 내려왔으며 국고채 금리는 일제히 하락세다.
정성태 삼성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금리인하 횟수를 10월, 11월 두 차례로 예상한다"며 "상반기 성장률이 전년 대비 2.7%를 기록하며 5월 한은의 전망치(2.9%)를 하회한 데다 올해 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물가 목표인 2%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신 국장은 "내수를 제약했던 고물가·고금리 요인이 하반기로 갈수록 완화되면서 소비와 설비투자를 중심으로 내수는 완만한 개선세를 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2분기는 연간 성장률 전망치에 부합하는 성장세"라며 "올해 하반기 2.2%, 연간으로는 2.5%의 성장률이 예상된다"고 했다.
다만 내수 회복세는 물가가 최근 흐름대로 둔화세를 이어가고 한은이 기준금리를 내린다는 전제가 필요하다.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압박이 커질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꾸준히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내수는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장은 이미 10월 기준금리 인하를 염두에 둔 분위기다. 7월 기대인플레이션율(2.9%)은 2년 4개월 만에 2%대로 내려왔으며 국고채 금리는 일제히 하락세다.
정성태 삼성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금리인하 횟수를 10월, 11월 두 차례로 예상한다"며 "상반기 성장률이 전년 대비 2.7%를 기록하며 5월 한은의 전망치(2.9%)를 하회한 데다 올해 말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물가 목표인 2%에 도달할 것으로 추정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