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이커머스 공습, 네카오에 눈앞의 '위기'보단 '기회'

2024-06-26 14:4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네이버와 카카오가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로 압축되는 중국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들의 국내 시장 공습을 위기보단 오히려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거란 관측이 나왔다.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4월 결제액도 전월보다 상당 수준 감소했다.

    정의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업체들의 국내 진출이) 네카오 커머스 사업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거란 우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타격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 글자크기 설정

중국 업체, 배송‧품질 등에서 한계점 명확

4월 결제액도 전월 대비 감소

네카오에 주요 광고주로 작용 가능

네이버·카카오 CI 자료각 사
네이버·카카오 CI [자료=각 사]
네이버와 카카오가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테무·쉬인)로 압축되는 중국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들의 국내 시장 공습을 위기보단 오히려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거란 관측이 나왔다. 중국 업체 성장을 막는 여러 단점이 명확한 만큼, 단기간 내 유의미한 성과를 기대하긴 힘든 상황이다. 이 가운데 국내에서도 공격적인 광고 집행에 나서고 있어 이는 네카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중국 직구 플랫폼이 차지한 거래액 비중은 1.4%에 불과했다. 올해와 내년 비중 역시 2.8%, 3.8%로 더딘 성장이 예상된다.
 
중국 업체의 경우, 배송 속도가 느리다는 게 최대 단점으로 꼽힌다. 중국 직접구매 제품은 배송 완료까지 평균 5~7일, 길게는 2주의 시간이 소요된다. 취급 물품이 브랜드 제품이 아닌 만큼 품질보장 위험도 상존한다. 최저 생산 비용으로 인해 높은 품질을 기대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제품과 상품 설명 사진이 달라 실망한 소비자들도 적지 않다.
 
중국 직구 제품들은 별도의 안전 검수 없이 판매되고 있는 만큼 유해물질에 노출될 위험도 있다. 앞서 인천본부세관이 실시한 조사에서 알리와 테무를 통해 판매된 장신구 404개 중 96개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 역시 알리의 어린이용품과 생활용품 31개 중 8개가 발암물질 기준을 초과했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 이커머스 업체로의 소비자 이탈은 제한적으로 이뤄질 거란 게 업계의 중론이다.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4월 결제액도 전월보다 상당 수준 감소했다.
 
정의훈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업체들의 국내 진출이) 네카오 커머스 사업 성장에 악영향을 미칠 거란 우려의 목소리도 있지만, 타격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히려 기회로 작용할 요인도 상존한다. 알리, 테무 등이 국내에서 공격적인 마케팅 진행 중인 만큼, 주요 광고주로 작용할 수 있다.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지난해 미국 시장 침투를 위해 쏟아부은 광고비는 약 5조4000억원 규모다.
 
국내에서 집행한 광고비 규모는 밝혀진 바 없지만, 공격적인 마케팅이 이어지는 추세다. 이는 온라인 광고 플랫폼의 핵심 축인 네카오 광고 부문 이익 증가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요인이다. 실제로 네이버와 카카오는 중국 커머스와 관련해 "네이버쇼핑의 경쟁상대일 뿐 아니라 전략적 파트너로 볼 수 있다", "카카오에 대한 광고비 집행으로 이어질 것" 등의 입장을 표명했다.
 
네이버는 올 하반기 숏폼(짦은 영상) 서비스 '클립'의 이용자 체류 시간 증가를 앞세운 디스플레이 광고와 동영상 광고 매출 성장을 꾀한다. 카카오는 메시지 사업 확대뿐 아니라 작년에 실시한 카카오톡 개편 효과도 드러날 것으로 기대된다. 일례로 친구탭의 일간 사용자수(DAU)는 재작년 2200만명에서 작년 3700만명까지 증가했다. 이는 비즈보드(카카오톡 채팅 탭 상단 광고) 확장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