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랜드, 큰고니 야생 방사 프로젝트 추진 

2024-06-26 08:39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삼성물산 리조트 부문(사장 정해린)이 운영하는 에버랜드가 낙동강하구에코센터, 조류생태환경연구소와 손잡고 큰고니(천연기념물 제201-2호) 세쌍둥이 야생 방사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에버랜드와 낙동강하구에코센터, 조류생태환경연구소는 지난해 7월부터 큰고니 가족들에게 최선의 방안을 모색한 결과 선천적으로 건강이 완전치 않은 겨울을 제외한 나머지 세쌍둥이를 야생 철새 무리들과 동행시키기로 했다.

    이들 기관은 지난해 6월 에버랜드에서 태어난 큰 고니 세쌍둥이(봄·여름·가을)를 을숙도 철새공원에서 보호 관리한다.

  • 글자크기 설정
을숙도 철새공원에서 야생 적응을 하는 큰고니의 모습 사진에버랜드
을숙도 철새공원에서 야생 적응을 하는 큰고니의 모습 [사진=에버랜드]

삼성물산 리조트 부문(사장 정해린)이 운영하는 에버랜드가 낙동강하구에코센터, 조류생태환경연구소와 손잡고 큰고니(천연기념물 제201-2호) 세쌍둥이 야생 방사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프로젝트의 주인공인 큰고니 세쌍둥이에게는 특별한 사연이 있다.
일명 백조로 불리는 큰고니는 겨울철에만 우리나라에 머물고 여름엔 러시아 북구 툰드라와 시베리아 등에서 살면서 번식을 한다.

부모인 아빠 날개와 엄마 낙동은 원래 야생 철새였으나, 지난 1996년 아빠 날개가 총에 맞은 채 경기도 남양주시 인근에서 부부가 함께 발견됐다. 

한 번 정해진 짝과 평생을 함께하는 큰고니의 특성상 엄마 낙동은 아빠 날개 곁을 지키다가 부부가 함께 무리에서 낙오됐다. 이후 조류보호협회 관계자들로부터 극적으로 구조돼 에버랜드에서 새로운 생을 살게 됐다. 

더 이상 날지 못하게 된 날개와 낙동 부부는 에버랜드에서 건강하게 잘 지냈지만 20여년간 새끼를 낳지 못했다. 그러나 2020년 수의사와 주키퍼(사육사)의 극진한 보살핌 속에서 첫째 '미오'를 부화시켰고 2023년 봄·여름·가을·겨울 네쌍둥이 부화에도 성공했다.

에버랜드는 26일 낙동강하구에코센터에서 '멸종위기종 보전 및 생태계 복원 업무협약'을 맺고 국내 멸종위기종 보전을 위한 상호 협력을 추진키로 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정동희 에버랜드 주토피아팀장(동물원장)과 서진원 낙동강하구에코센터장, 박희천 조류생태환경연구소장 등이 참석했다. 

에버랜드와 낙동강하구에코센터, 조류생태환경연구소는 지난해 7월부터 큰고니 가족들에게 최선의 방안을 모색한 결과 선천적으로 건강이 완전치 않은 겨울을 제외한 나머지 세쌍둥이를 야생 철새 무리들과 동행시키기로 했다. 

이들 기관은 지난해 6월 에버랜드에서 태어난 큰 고니 세쌍둥이(봄·여름·가을)를 을숙도 철새공원에서 보호 관리한다. 세쌍둥이에게 GPS를 부착하고 이들의 이동 경로를 분석해 이번 겨울 야생 큰고니 무리와 함께 동행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지난 10월부터 을숙도 철새공원에서 지내고 있는 세쌍둥이는 최대 60여km 떨어진 곳까지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건강하게 적응해 나가고 있으며, 11월경 돌아오는 야생 큰고니 무리를 기다리고 있다.

정동희 팀장은 "동물원에서 태어난 큰고니들이 야생 무리들과 섞여 번식까지 할 수 있다면 큰고니 보전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면서 "GPS로 상세한 이동 경로를 확인 할 수 있다면 큰고니 생태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