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감기업 성장성·수익성 개선됐지만…반도체·대기업만 好好

2024-06-20 12: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표=한국은행] 올 1분기 외감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개선됐지만 안정성이 다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증가율은 제조업(지난해 4분기 2.7%→올 1분기 3.3%)과 비제조업(0.9%→2.1%) 모두 상승했으며 기업규모별로도 대기업(1.8%→2.6%)과 중소기업(2.4%→3.8%)이 모두 늘었다.

    외감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매출액영업이익률(2.8%→5.4%)과 매출액세전순이익률(5.0%→7.4%)은 모두 전년보다 상승했다.

  • 글자크기 설정

한국은행, '1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 발표

일부업종·대기업 위주로 성장성·수익성↑

중소기업은 되려 성장성·수익성 모두 '뚝'

한은 "일부 업종만 개선…본격 개선 아냐"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올 1분기 외감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개선됐지만 안정성이 다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성과 수익성도 반도체와 같은 일부 업종과 대기업 중심으로 이뤄져 전반적인 경기 개선 흐름으로 보긴 어렵다는 진단이다. 

2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외감기업의 성장성을 나타내는 매출액증가율(-1.3%→1.2%)은 전분기 대비 플러스(+) 전환했고 총자산증가율(1.9%→2.8%)도 전년보다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매출액증가율은 제조업은 지난해 4분기 0.9%에서 올 1분기 3.3%로 크게 올랐다. 비제조업(-4.0%→-1.6%)은 감소폭이 축소했고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1.3%→3.0%)은 플러스(+) 전환되었으나 중소기업(-1.5%→-6.9%)은 오히려 감소폭이 확대됐다.

자산증가율은 제조업(지난해 4분기 2.7%→올 1분기 3.3%)과 비제조업(0.9%→2.1%) 모두 상승했으며 기업규모별로도 대기업(1.8%→2.6%)과 중소기업(2.4%→3.8%)이 모두 늘었다.

외감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매출액영업이익률(2.8%→5.4%)과 매출액세전순이익률(5.0%→7.4%)은 모두 전년보다 상승했다. 매출액영업이익률을 업종별로 따져보면 제조업은 지난해 4분기 2.5%였는데 올 1분기엔 5.4%로 늘었다. 비제조업도 같은 기간 3.2%에서 5.3%로 상승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2.4%→5.7%)은 상승했으나 중소기업(4.7%→3.8%)은 하락했다.

이자보상비율은 전반적으로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지난해 1분기 214.6%에서 377.1%로 상승했지만 2015년 이후 평균(505.4%)에는 아직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보상비율은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금융비용(이자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강영관 경제통계국 기업통계팀장은 "중소기업 등 대다수 기업은 본격적으로 개선되진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는 "반도체, 기계·전기·전자업, 운수업 등 일부 업종과 대기업 중심으로 성장이 이뤄졌다"며 "중소기업은 매출과 영업이익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부진한 측면 나타났다"고 말했다. 

외감기업의 안정성 척도인 부채비율(89.2%→92.1%)과 차입금의존도(25.4%→25.7%)는 모두 전분기 대비 상승했다. 강 팀장은 "안정성의 경우 대부분 업종에서 부채비율, 차입금의존도가 상승했으며 부채는 비이자부채(미지급배당금 등) 중심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