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브버그'·모기, 개체 수 증가…이른 더위에 '벌레 주의보'

2024-06-17 10:05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연일 계속되고 있는 무더위에 모기 등 벌레의 개체 수가 급증하고 있다.

    러브버그는 서울과 수도권에서도 목격되고 있다.

    '붉은등우단털팔파리'는 성충이 되면 암수가 짝짓기 상태로 다니며 먹이를 먹거나 비행해 '러브버그'(사랑벌레)라는 별명이 붙었다.

  • 글자크기 설정
지난달 27일 광주 북구보건소 감염병관리과 방역반원들이 기아챔피언스 필드 앞 서방천 인근에서 긴급 모기 방역을 실시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27일 광주 북구보건소 감염병관리과 방역반원들이 기아챔피언스 필드 앞 서방천 인근에서 긴급 모기 방역을 실시했다. [사진=연합뉴스]

연일 계속되고 있는 무더위에 모기 등 벌레의 개체 수가 급증하고 있다. 올여름 '벌레주의보' 등이 켜졌다.

최근 서울시의 모기예보제에 따르면 서울시 평균 모기 활동 지수는 지난 2일부터 15일까지 2주 연속 가장 높은 수치인 100을 기록했다. 이는 모기예보제에서 가장 높은 단계인 4단계(불쾌)에 해당한다.
4단계는 야외에 모기 유충 서식지가 50∼100% 범위로 형성된 것이며, 단독주택 밀집 지역의 경우 집안으로 침입하는 모기가 하룻밤에 5∼10마리 정도 되는 단계다. 밤에 야외에서 운동한 뒤 한 곳에 정지 상태로 10∼15분 이상 머무르면 5마리 이상의 모기에 물릴 수 있는 수준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평균은 65.6였는데, 올해는 약 1.5 배로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부터 서울시의 모기 예보를 담당하는 김동건 삼육대 스미스학부대학 부교수는 "작년과 다르게 이른 봄부터 비가 많이 내릴뿐더러 기온도 계속 높다 보니 물웅덩이 등 모기가 서식할 수 있는 상황이 일찍부터 조성됐다. 높은 기온으로 유충도 빠르게 성장해 성충 개체 수도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서울 도심에 나타났던 '팅커벨'로 불리는 동양 하루살이가 사라지자, 여름철 불청객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도 전국 곳곳에서 출몰하기 시작했다.
 
이날 각 지방자치단체 등에 따르면 충청권 일부 지역에서는 지난달부터 러브버그가 발견됐다. 러브버그는 서울과 수도권에서도 목격되고 있다.

'붉은등우단털팔파리'는 성충이 되면 암수가 짝짓기 상태로 다니며 먹이를 먹거나 비행해 '러브버그'(사랑벌레)라는 별명이 붙었다. 생존 시기는 성체가 된 뒤 3~5일 정도로 무척 짧다.

러브버그는 생태계에 도움을 주기도 하고, 사람을 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러브버그는 2년 전부터 서울 은평구와 경기 고양시 등 수도권 서북부를 중심으로 기승을 부리고, 올해 들어선 지난달에 대거 등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