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육군 기동헬기 '수리온' 양산 마무리

2024-06-05 11:17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 4일 경남 사천 본사에서 육군 수리온(KUH-1) 양산 사업 최종호기 납품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기념식에는 강구영 KAI 사장, 박중동 육군 항공사령부 부사령관(준장), 차원준 방위사업청 헬기사업부장(준장), 허건영 국방기술품질원장 등 관련 군·기관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KAI는 최종호기 납품으로 2010년 12월 최초 양산에 착수한 이후 약 14년 간 이어온 육군 수리온 양산사업에 마침표를 찍었다.

  • 글자크기 설정

강구영 사장 "수리온, 육군 핵심 전력…글로벌 경쟁력 강화"

수리온 최종호기 납품행사 참석자들이 현수막을 들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 4일 경남 사천 본사에서 육군 수리온(KUH-1) 양산 사업 최종호기 납품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수리온 최종호기 납품행사 참석자들이 현수막을 들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한국항공우주산업]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지난 4일 경남 사천 본사에서 육군 수리온(KUH-1) 양산 사업 최종호기 납품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기념식에는 강구영 KAI 사장, 박중동 육군 항공사령부 부사령관(준장), 차원준 방위사업청 헬기사업부장(준장), 허건영 국방기술품질원장 등 관련 군·기관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KAI는 최종호기 납품으로 2010년 12월 최초 양산에 착수한 이후 약 14년 간 이어온 육군 수리온 양산사업에 마침표를 찍었다.
 
강 사장은 “최초의 국산 헬기가 대한민국 육군 항공의 핵심 전력으로 자리매김하게 돼 뜻깊은 날”이라며 “향후 체계적인 후속지원과 지속적인 성능개량을 통해 국산 명품 헬기로서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수리온은 상륙기동, 의무후송, 경찰, 해경, 소방, 산림 등 10개 기종으로 진화됐다. 국내 약 300여대의 군·관용 헬기가 운용되고 있다.
 
KAI는 “특히 해병대 상륙기동헬기를 기반으로 상륙공격헬기와 소해헬기를 개발 중으로 공격, 기뢰 탐색 등 특수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헬기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며 “두 개 기종은 2026년 개발이 완료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