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어 코리안] 경제 살아난다는데 실질소득 더 줄어...이자부담 11% 급등 

2024-05-23 12: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올해 1분기 가계 실질소득이 1년 전보다 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4%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1.6% 감소했다.

  • 글자크기 설정

기업 실적 악화에 근로소득 줄어…가계수지 흑자액도 감소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올해 1분기 가계 실질소득이 1년 전보다 1.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보다 물가가 더 큰 폭으로 오른 탓이다. 높은 대출 금리에 이자비용까지 늘면서 체감경기의 온기 확산이 여전히 더딘 모양새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4%포인트 증가했다. 반면 물가 상승률을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1.6% 감소했다. 
실질소득은 지난해 3분기에 0.2% 증가하며 5개 분기 만에 반등했지만 같은 해 4분기 0.5% 증가 폭을 키운 이후 올 1분기 다시 감소세로 전환했다. 

실질소득 감소는 고물가 장기화와 기업의 실적 악화가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4분기 1.9% 감소했던 실질 근로소득은 올 1분기 감소 폭을 키우며 3.9% 줄었다. 2006년 1인가구를 포함한 관련 통계 작성 이후 1분기를 기준으로 역대 최대 폭 감소다. 

소득 5분위별 가계수지를 살펴보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근로소득이 유일하게 4.0% 감소했는데 기업의 실적 악화로 상여금 지급이 줄어든 영향이 크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올 1분기 삼성전자는 상여금이 없었고 SK하이닉스, 엘지에너지솔루션 등은 이를 축소한 것으로 확인된다"며 "전반적으로 주요 기업이 상여금을 줄인 것이 근로소득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항목별 소득은 기업 상여급이 줄면서 근로소득이 1.1% 감소했지만 사업소득은 8.9%가 증가했다. 이전 소득도 국민연급 수급액 증가와 기초생활보장제도 보장성 강화의 영향으로 5.8% 늘었다. 

분위별로는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의 소득이 7.6% 증가한 반면 5분위의 소득이 2.0% 감소하며 소득 격차가 완화됐다. 그 결과 5분위 소득을 1분위 소득으로 나눠 국민소득 분배 상태를 평가하는 소득 5분위 배율은 5.98배로 전년동기 대비 0.47배포인트 줄었다. 소득 5분위 배율은 낮아질수록 소득 분배가 개선되고 있다는 의미다. 

다만 고금리가 장기화되면서 가계의 이자부담은 증가했다. 올 1분기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107만6000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2% 증가했다. 정부의 세부담 완화 기조로 경상조세 지출은 6.5% 줄었지만 이자비용이 11.2% 늘어난 영향이다. 지난해 1분기 가구당 12만4000원이었던 이자비용은 올해 1분기 13만3000원으로 1만원 가까이 증가했다. 

고금리·고물가 여파로 지출이 늘면서 가계수지는 악화됐다. 1분기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04만6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 늘었지만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제외한 흑자액은 113만8000원으로 2.6% 줄었다. 흑자율도 28.1%에 그쳐 전년동기 대비 1.2%포인트 하락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