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수금 14조원 누적 '풍전등화'…최연혜 가스公 사장 "요금 인상 불가피"

2024-05-22 17:02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극단적인 상황을 막고자 모든 수단을 가동하고 있으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이에 민수용 도시가수 미수금 회수를 위해서는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게 가스공사의 입장이다.

    민수용 미수금을 1년 만에 모두 회수하려면 MJ(메가줄)당 가스요금을 약 27원 올려야 한다.

  • 글자크기 설정

LNG 가격 오름세 불구 민수용 가스요금 동결

수요 적은 여름철부터 단계적 요금 인상해야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22일 세종시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가스요금 인상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국가스공사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이 22일 세종시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가스요금 인상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국가스공사]
"극단적인 상황을 막고자 모든 수단을 가동하고 있으나 자구 노력만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 동절기에도 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조속한 요금 인상이 필요하다."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사장은 22일 세종시에서 출입기자단과 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가스공사는 만성 미수금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미수금이란 원가에 미치지 못하는 가격에 가스를 공급하고 원가와 공급가의 차액을 외상값으로 처리하는 것을 뜻한다. 가스공사의 민수용 도시가스 미수금은 올 3월 기준 13조5000억원으로 올 연말에는 14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에너지 위기로 국제 액화천연가스(LNG) 시세는 오름세를 보이고 있지만 민수용 가스요금은 장기간 동결된 상태다. 지난 2022년 요금인상으로 원가율을 올렸으나 80%에 불과하다. 공급하는 가스의 20%에 달하는 비용을 손해본다는 의미다.

가스공사는 2022년 이후 국제 LNG 가격이 200% 상승했으나 국내 가스요금은 43% 인상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요금 인상의 적기는 가스 사용량이 적은 여름이라고 강조했다. 수요가 적은 여름에 요금을 올린 뒤 단계적으로 연착륙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최 사장은 "풀리지 않은 가장 큰 숙제가 미수금 해소"라며 "현재 미수금 규모는 전 직원이 30년간 무보수로 일해도 회수가 불가능한 규모"라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가스공사는 낮은 원가보상률로 인해 차입으로 살림을 꾸리고 있으며 차입에 따른 이자비용만 하루 47억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가스공사는 LNG 단일 품목을 수입해 외생 변수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맹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동절기 비상 시 자금 경색이 우려되며 실제로 자금 경색이 발생할 경우 국제 신인도가 하락할 수밖에 없다. 조달 금리가 오르면 천연가스 물량 조달 자체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민수용 도시가수 미수금 회수를 위해서는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게 가스공사의 입장이다. 민수용 미수금을 1년 만에 모두 회수하려면 MJ(메가줄)당 가스요금을 약 27원 올려야 한다. 현재 도시가스 주택용 도매요금은 19.4395원이다.

최 사장은 "겨울에 사용량이 많은 국내 수요 패턴상 도시가스 요금 인상으로 인한 국민 체감도는 겨울철에 훨씬 높아질 수밖에 없다"며 "수요가 적은 여름철에 요금을 인상하고 단계적으로 연착륙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