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3월에는 단순한 테마성 접근보다는 ROE(자기자본이익률) 개선 종목이 선택지가 될 수 있다는 데 의견이 모이고 있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지수는 지난 26일부터 29일까지 열린 4거래일 간 1.44% 가량 떨어졌다. 2681.03포인트였던 지수는 2700선을 넘지 못하고 29일 2644.43포인트까지 빠졌다.
코스닥지수도 마찬가지로 밀렸다. 26일 868.57포인트로 장을 마감한 지수는 29일 862.96포인트로 마감하며 5.61포인트(0.65%) 내렸다. 2월 마무리가 좋지 못했지만 코스피지수 수익률은 3.93%로 집계됐고 코스닥지수는 8.04%를 기록했다.
증권가에서는 아직 저PBR 관련주에 대한 투자심리가 훼손되지 않았다고 입을 모은다. 특히, 지난 26일 밸류업 프로그램 공개 이후 이어지는 △3월 주주총회 시즌 △4월 총선 △5월 밸류업 지원방안 2차 세미나 △6월 밸류업 프로그램 최종안 확정 △9월 관련 상장지수펀드(ETF) 출시와 같은 이벤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일부 투자자들의 실망감도 이해할 만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저PBR 업종이 주도 테마로서 그 지위를 상실한 것으로 보기엔 시기 상조"라며 "이는 여타 증시 대비 낮은 주주 환원율 및 낮은 밸류에이션 등과 같은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정부의 정책 드라이빙 의지가 높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한 연구원은 "기획재정부 측에서 법인세 감면, 자사주 소각비용 손금 인정 등 구체적인 인센티브 안을 올 여름 세제 개편안 전에 발표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는 점이나, 5월 중 2차 세미나→6월 가이드라인 확정→9월 ETF·지수 개발 등으로 이어지는 타임라인을 설정해 놓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세부적으로 ROE 개선 기업에 대해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들린다. 이미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기업보다는 ROE는 낮지만 개선세를 보이는 종목이 유리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유명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상대적으로 ROE가 높거나 개선되는 기업들이 프리미엄을 받을 수 있다"며 "고ROE 기업보단 낮더라도 개선되는 기업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설명했다. 저성장과 경쟁 심화로 높은 수준의 ROE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어 "ROE가 개선되는 기업 중에서도 총자산회전율(매출/자산)과 순이익률이 함께 상승하는 기업이 유리하다"며 "총자산회전율이 상승하는 기업은 매출이 성장하고 불필요한 잉여자산이 적어 효율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관심 업종으로 반도체를 포함해 △화장품·의류 △헬스케어 △필수소비재를, ROE 개선 및 총자산회전율 상승 기업으로 SK하이닉스, SK텔레콤, 휠라홀딩스, 하이트진로 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