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사가 ‘회수 불가능’이라고 판단한 대출채권 규모가 4대 금융그룹(KB·신한·하나·우리)에서만 2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그룹의 지난해 말 기준 ‘추정손실’ 규모는 총 1조966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1조3212억원)보다 48.8% 급증한 규모로 역대 최대다.
금융그룹별 추정손실 규모를 살펴보면 KB금융이 2022년 말 2123억원에서 작년 말 3926억원으로 84.9% 늘었다. 같은 기간 신한금융도 5759억원에서 7514억원으로 추정손실 규모가 30.5% 확대됐다.
하나금융은 2022년 말 2350억원에서 작년 말 3430억원으로 추정손실 규모가 1년 새 46.0% 불었고, 이 기간 우리금융 추정손실도 2980억원에서 4790억원으로 60.7% 늘었다.
추정손실은 금융회사의 자산건전성 분류 기준(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중 가장 하위 단계에 해당한다. 은행에서는 △회수 불가능 수준으로의 채무상환 능력 악화 △12개월 이상 연체 △최종부도, 청산·파산, 폐업 등 채권회수에 심각한 위험 존재 등의 거래처에 대한 자산 중 회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을 초과하는 액수를 추정손실로 분류한다.
지난해 추정손실이 급증한 원인으로는 경기둔화와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연체율 상승이 꼽힌다. 차주 자산건전성 악화, 신용회복위원회 사전채무조정,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관련 보수적인 전망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부실채권으로 여겨지는 고정이하여신(NPL) 규모도 지난 1년 동안 크게 늘었다. NPL은 자산건전성 분류 기준 중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을 합친 것이다. 4대 금융그룹의 NPL 규모는 2022년 말 5조3997억원에서 작년 말 7조9378억원으로 47.0% 증가했다.
금융권은 대손충당금을 대폭 확대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4대 금융그룹이 작년 한 해 적립한 대손충당금은 총 8조9931억원에 달한다. 이는 전년 대비 73.7% 늘어난 규모다.
올해 들어서도 △취약 차주 조기 신용평가 △고위험 차주 선별 △부실기업 대출의 조속한 정리 △가계대출 관리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그룹의 지난해 말 기준 ‘추정손실’ 규모는 총 1조966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1조3212억원)보다 48.8% 급증한 규모로 역대 최대다.
금융그룹별 추정손실 규모를 살펴보면 KB금융이 2022년 말 2123억원에서 작년 말 3926억원으로 84.9% 늘었다. 같은 기간 신한금융도 5759억원에서 7514억원으로 추정손실 규모가 30.5% 확대됐다.
하나금융은 2022년 말 2350억원에서 작년 말 3430억원으로 추정손실 규모가 1년 새 46.0% 불었고, 이 기간 우리금융 추정손실도 2980억원에서 4790억원으로 60.7% 늘었다.
지난해 추정손실이 급증한 원인으로는 경기둔화와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연체율 상승이 꼽힌다. 차주 자산건전성 악화, 신용회복위원회 사전채무조정,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관련 보수적인 전망 등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부실채권으로 여겨지는 고정이하여신(NPL) 규모도 지난 1년 동안 크게 늘었다. NPL은 자산건전성 분류 기준 중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을 합친 것이다. 4대 금융그룹의 NPL 규모는 2022년 말 5조3997억원에서 작년 말 7조9378억원으로 47.0% 증가했다.
금융권은 대손충당금을 대폭 확대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4대 금융그룹이 작년 한 해 적립한 대손충당금은 총 8조9931억원에 달한다. 이는 전년 대비 73.7% 늘어난 규모다.
올해 들어서도 △취약 차주 조기 신용평가 △고위험 차주 선별 △부실기업 대출의 조속한 정리 △가계대출 관리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