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주북 러대사 "한반도 평화 美에 달려…도발시 北 7차 핵실험"

2024-02-07 14:12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알렉산드로 마체고라 주북 러시아 대사가 7일(현지시간) "미국의 도발이 계속될 경우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북한에서 추가 핵실험이 있을지는 한반도의 군사 및 정치적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 미국과 남조선의 핵 억지력이 확대되거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도발적 조치들이 계속되거나, 미 공군의 전략 폭격기가 한반도 상공을 계속 비행한다면, 북한 지도부는 국방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신규 핵실험을 감행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 글자크기 설정

"도발 계속되면 북한 신규 핵실험 감행"

"미국, 모험주의적 정책…중동서와 유사한 공격 할 수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알렉산드로 마체고라 주북 러시아 대사가 7일(현지시간) “미국의 도발이 계속될 경우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이날 러시아 타스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전쟁을 추구하지 않는다”면서도 “2024년이 한반도의 평화로운 해가 될지, 군사적 충돌이 일어날지는 전적으로 미국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최근 최고인민회의에서 “적들이 건드리지 않는 이상 결코 일방적으로 전쟁을 결행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언급한 점을 소개하면서 이처럼 강조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미국이 계속해서 역내에서 도발적인 조치를 취한다면, 북한이 신규 핵실험을 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북한이 7차 핵실험을 준비하고 있다는 서방의 주장과 관련해 “서방 국가들 및 유엔 사무국 당국자들은 여기(북한)에서 제7차 핵실험을 위한 준비가 진행 중인지를 사전에 알 수 없다”며 이러한 레토릭(수사)은 단순 ‘추측’이라고 일축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북한에서 추가 핵실험이 있을지는 한반도의 군사 및 정치적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는지에 달려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 미국과 남조선의 핵 억지력이 확대되거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도발적 조치들이 계속되거나, 미 공군의 전략 폭격기가 한반도 상공을 계속 비행한다면, 북한 지도부는 국방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신규 핵실험을 감행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달갑지 않은 국면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워싱턴(미국)에 있다”며 한국 정부에도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타스통신은 한국 정부의 책임에는 거의 의존하지 않는다는 점을 마체고라 대사가 인정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마체고라 대사는 미국이 동아시아 지역에서 군사적 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면서, 한반도 상황을 우려했다. 그는 “한반도의 상황은 미국의 모험주의적 정책 때문에 주요 우려 사항이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예멘 후티반군 공격 등 미국의 중동 정책을 거론하며, 미국이 한반도에서도 유사한 공격을 시작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공화당 경선 후보 중 한 명인 니키 헤일리 전 유엔대사가 이란 지도부 암살을 주장한 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시절 미국이 카셈 솔레이마니 이란 혁명수비대 사령관을 살해한 점 등을 언급하면서, “미국이 북한에 대해 비슷한 목표를 갖고 있지 않다고 어떻게 확신할 수 있겠냐”고 말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 가능성은 커진다. 북한과 러시아 양국은 푸틴 대통령의 방북에 맞춰 양국 정상이 서명할 공동 문건을 준비 중이다. 마체고라 대사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에 맞춰) 현재 진행 중이고 서명을 준비하고 있는 패키지에 포함된 문서 중 하나는 두 나라 국민의 상호 관광에 대한 합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방문하려는 러시아 관광객들에게 가장 편안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살펴볼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체고라 대사는 푸틴 대통령의 방북 시점 등과 관련해서는 함구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9월 러시아를 방문했을 때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의 방북 초청을 수락한 바 있다.
 
북러 협력은 군사 협력에서 경제 협력으로 확대하는 모습이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러시아는 유엔 대북 제재에도 불구하고 자국 금융기관에 동결돼 있던 북한 자금 3000만 달러(약 400억원) 중 900만 달러의 인출을 허용했다. 미 당국은 북한이 이 돈을 원유를 구입하는 데 쓸 것으로 예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