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조원 시장 잡자…삼성 '볼리'·LG 'AI 에이전트' 반려로봇 대결

2024-01-16 05:00
  • 글자크기 설정
1인 가구가 늘어나고 고령화사회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가정용 반려로봇(Companion)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인공지능(AI)이 더해지며 기술 고도화가 속도를 낸 덕이다. 국내 기업들도 AI를 활용한 반려로봇을 선보이며 확장되는 글로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열린 CES 2024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나란히 반려로봇 '볼리(Ballie)'와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를 선보였다. 두 제품 모두 집 구석구석을 이동하며 맞춤형 편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AI 집사'로 볼 수 있다.

과거 로봇 모습이 단순히 사용자 지시에 따르는 수준이었다면 이제는 AI를 탑재한 로봇이 스스로 사용자 패턴을 학습하고 판단해 일을 수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볼리'와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도 집 안 곳곳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공간을 인식하고, 사용자 패턴을 학습해 진화하며, 가전 및 IoT 기기를 연결·제어하며 관리를 돕는 등 다양한 사용성을 제공한다.

삼성전자 '볼리'는 CES 2020에서 프로토타입으로 공개된 지 4년 만에 상용화할 수 있는 수준으로 업그레이드돼 돌아왔다. 공 모양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 음성 명령을 따른다. 특히 세계 최초로 원·근접 투사가 가능한 듀얼렌즈 기술 기반의 프로젝터가 탑재돼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나 영상을 천장·벽·바닥 등에 띄워주는 등 다양한 사용성이 강점이다.

LG전자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는 감성을 더한 것이 차별화 포인트다. 관절이 달린 두 다리를 활용해 장애물을 자연스럽게 넘는 등 섬세한 움직임이 가능하고, 디스플레이에 표정을 표출하는 등 풍부한 감성 표현도 할 수 있다. 특히 음성·음향·이미지 인식 등을 접목한 멀티모달(Multi Modal) 센싱과 첨단 인공지능 프로세스를 토대로 사용자 상황과 상태를 정교하게 인지하고 능동적으로 소통한다.

업계에서는 이러한 반려로봇 시장이 점차 개인 맞춤 케어 방향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예컨대 사용자와 대화를 하면서 외로움을 달래주고, 약물 복용 시간을 알려주거나 건강 모니터링 및 응급 상황 시 의료진에게 경보를 전달하는 등 '돌봄' 기능을 확대하는 식이다.

시장 성장성도 높다는 분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드마켓에 따르면 전 세계 반려 로봇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114억4000만 달러(약 15조원)에서 연평균 25.7% 성장해 2030년 566억9000만 달러(약 75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헬스케어 반려로봇 시장은 2030년 56억 달러 규모로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델이 삼성전자 AI 컴패니언AI Companion 볼리Ballie를 소개하는 모습 사진삼성전자
모델이 삼성전자 AI 컴패니언(AI Companion) '볼리(Ballie)'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모델이 AI 기술이 적용된 LG전자 반려로봇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전자
모델이 AI 기술이 적용된 LG전자 반려로봇 '스마트홈 AI 에이전트'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LG전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