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업체를 이용한 가구주 비중이 4년 만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전성 악화로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이 대출 문을 걸어 잠그면서 급전이 필요한 취약 차주들이 대부업 시장에 내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한국은행‧통계청‧금융감독원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신용대출 가구주 중 대부업체를 포함한 '기타 기관 등'에서 돈을 빌린 가구주 비중은 7.9%로 지난해(6.9%)보다 1.0%포인트(p) 상승했다. 2019년(11.4%) 이후 4년 만에 상승세로 전환한 것이다.
소득 분위별 차이는 두드러졌다. 하위 20%인 1분위 기구주의 '기타 기관 등' 대출 비중이 13.1%로 가장 높았다. 소득 5분위(6.4%)의 2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반면 제1금융권인 시중은행에서 돈을 빌린 차주 비중은 78.8%로, 지난해(79.8%)보다 1.0%p 하락했다. 2019년(75.3%) 이후 매년 상승하다가 4년 만에 뒷걸음질 친 수치다.
저축은행, 우체국‧새마을금고 등 비은행금융기관 대출 가구주 비중도 지난해보다 각각 0.2%p씩 하락했다.
저축은행 등은 고금리 기조 속에 조달비용이 급격히 상승한 데다 적자 폭이 커지면서 '건전성 관리'를 위해 취약 차주에 대한 신규 대출 규모를 줄이고 있다. 문제는 대부업마저 대출 규모를 줄이고 있어 취약 차주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는 것이다.
지난 8월 말 기준 주요 69개 대부업체 신규 대출액은 950억원에 불과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3066억원 대비 30%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