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여론조사] 野 지지율 큰 폭 상승한 34% 국힘과 동률…尹대통령 지지율 33%

2023-09-09 05:00
  • 글자크기 설정

'총선서 야당 많이 당선돼야' 50%, '여당 많이 당선돼야' 37%

비례대표 정당 투표 시...국민의힘 36% vs 민주당 40%

악수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정의선 현대차 그룹 회장
    자카르타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인도네시아를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7일현지시간 자카르타 한 호텔에서 열린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정의선 현대차 그룹 회장과 악수하고 있다 202397  공동취재
    kaneynacokr2023-09-07 210550
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인도네시아를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7일(현지시간) 자카르타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정의선 현대차 그룹 회장과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국민의힘 지지율은 그대로 유지돼 양당 지지율이 동률을 기록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8일 나왔다. 전문가들은 당분간 양당 지지율이 엎치락뒤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갤럽이 9월 1주(5∼7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민주당 지지도는 34%로 8월 5주(8월 29∼31일) 조사보다 7%포인트 상승했다.
민주당 지지도는 지난주에 8월 4주(8월 22∼24일) 조사보다 5%포인트 떨어져 현 정부 출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가 이번 주 반등했다.

국민의힘 지지도는 34%로 일주일 전과 같았다. 국민의힘은 3주째 같은 지지도를 유지하는 상태다.

정의당은 3%로 지난주보다 2%포인트 하락했다.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無黨)층은 28%로 전주보다 4%포인트 내렸다.

한국갤럽은 "작년 6월 이후 정당 지지도 변동은 주로 중도층에서 비롯하는데, 대통령 직무 평가나 여러 현안 여론을 기준으로 볼 때 이들의 생각은 여당보다 야당에 가깝다"며 "요즘처럼 진폭이 클 때의 민주당 지지층은 상대적으로 연성(軟性), 진폭이 작은 국민의힘 쪽은 경성(硬性)이라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종훈 정치평론가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오르긴 했지만 큰 변화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핵심 지지층이 서로 결집한 상황에서 살짝 옮긴 정도로 봐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석열 정부가 이준석 전 대표 건 등으로 잠시 주춤한 정도"라며 "앞으로도 서로 엎치락뒤치락하는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재명 발언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8일 국회 천막농성장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202398
    hamaynacokr2023-09-08 104622
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국회 천막농성장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대통령감 선호도' 이재명 19%, 한동훈 12%, 홍준표·이낙연 3%

윤석열 대통령 국정 지지율은 33%로 지난주와 동일했다. 부정평가는 58%로 1%포인트 하락했다.

윤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 이유로는 '외교'(26%), '국방/안보'(7%), '결단력/추진력/뚝심', '전반적으로 잘한다'(이상 4%) 등이 언급됐다.

부정평가 이유로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16%), '외교'(12%), '경제/민생/물가'(10%), '독단적/일방적'(7%) 등이 꼽혔다.

'대통령감'을 묻는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는 이재명 민주당 대표 선호도가 19%,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12%로 기록됐다.

홍준표 대구시장과 민주당 이낙연 전 대표가 각각 3%, 오세훈 서울시장·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김동연 경기도지사·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각각 2%였다.

국민의힘 지지자(337명) 중에서는 한 장관 29%, 홍 시장 7%, 원 장관 5% 등이었다. 민주당 지지자(339명)들은 이재명 대표 45%, 이낙연 전 대표 4% 등으로 선택했다.

내년 총선과 관련해선 '현 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여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37%, '현 정부를 견제하기 위해 야당 후보가 많이 당선돼야 한다'는 응답은 50%였다.

총선 비례대표 정당 투표에서 국민의힘을 선택하겠다는 응답자는 36%, 민주당을 선택하겠다는 응답자는 40%였다. 정의당은 7%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무선전화 가상번호 인터뷰 100%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4.6%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