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인·친구와 산다"…'非친족 가구수' 50만 돌파

2023-08-01 15:01
  • 글자크기 설정

지난해 다시 역대 최대치 경신

비친족 가구원수 2년째 100만명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서울 동작구에 사는 우모씨(33)는 연인과 1년째 함께 살고 있다.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아 결혼은 하지 않지만 여느 신혼부부처럼 지낸다. 우씨는 "실생활은 전혀 불편함이 없고, 만족도가 높다"며 "오히려 가족과 생활할 때보다 더 큰 안정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가족 대신 친구나 애인과 함께 사는 비(非)친족 가구가 지난해 역대 최대치를 다시 경신했다. 비친족 가구의 구성원 수도 2년째 100만명대를 이어가고 있다. 결혼과 혈연에 묶인 전통적인 가족의 경계선이 옅어지고 있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비친족 가구 수는 1년 전(47만2660가구)보다 8.7% 늘어난 51만3889가구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많다. 

비친족 가구는 일반 가구 가운데 가족이 아닌 남남끼리 사는 5인 이하의 가구를 뜻한다. 법적으로 혼인이나 부양 책임 등으로 묶이길 원치 않는 연인, 동성 부부, 마음에 맞는 친구들 간의 동거, 경제적인 이유로 동거하는 관계 등이 비친족 가구에 속한다. 

비친족 가구는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15년 21만4421가구에 불과했던 비친족 가구는 2017년 30만8659명으로 처음으로 30만 가구를 넘어섰다. 이후 3년 만에 40만 가구를 돌파했고, 지난해에는 50만 가구를 넘어서며 증가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일반 가구 중 비친족 가구 비중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비친족 가구는 2015년 일반 가구의 1.1%에 불과했으나 2017년 1.6%, 2020년 2%에 이어 지난해 2.4%까지 올랐다.

행정구역별로 보면 비친족 가구의 79.2%(40만6914가구)는 읍이나 면이 아닌 동에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13만7421가구)에 비친족 가구가 가장 많았고, 서울(10만7951가구), 인천(3만4846가구)이 뒤를 이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최근 (생물학적) 가족과 살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가구들이 많이 늘어나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같은 기간 비친족 가구원 수도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비친족 가구원은 109만8224명으로, 지난 2021년에 이어 100만명을 넘어섰다. 2015년 비친족 가구원이 47만1859명으로 6년 동안 2배 이상 뛴 것이다.

가족의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지만 현재 가족 정책은 여전히 전통적 의미의 가족인 '정상 가족'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인정하고 제도적으로 차별하지 않는 방향성으로 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민아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최근 1인 가구는 물론 비친족 가구가 늘어나는 등 가족 형태가 바뀌고 있다"면서 "이 같은 추세에 맞춰 생활동반자법 입법화 등을 통해서 보완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