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이 현재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한 번에 현재화하지 않고, 질서 있게 정상화·정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간의 건전성 제도 개선, 금융회사 리스크 관리 능력 확충 등의 노력으로 아직까지 충분한 대응여력이 있다는 데 업계와 의견을 모았다. 특히 오는 9월부터 운영되는 1조원 규모의 '부동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 업무협약을 통해 부실·부실우려 사업장의 정상화를 가속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위원회는 4일 오전 서울 강남구 캠코 양재타워에서 권대영 금융위 상임위원의 주재로 개최된 '제2차 부동산 PF 사업정상화 추진상황 점검회의'에서 금융권의 부동산 PF 사업정상화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아울러 최근 부동산 PF 시장상황에 대한 업계 의견도 청취했다.
이어 참석자들은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이 과거 저축은행 사태와 비교해 상당한 차이가 있다며, 향후 연체율 상승세는 시차를 두고 둔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2.01%를 기록해 1년 전보다 0.82%포인트 뛰었다. 하지만 과거 저축은행 사태 당시 연체율이 13.62%까지 뛰었던 점을 고려할 땐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PF 대주단 협약 등 선제적인 조치 등을 통해 현재 부동산 PF 부실이 한 번에 현재화되지 않고, 질서 있게 정상화‧정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금융위는 "금융회사의 경우 그간 건전성 제도 개선, 금융회사의 리스크 관리 능력 확충 등으로 아직까지 충분한 대응여력이 있다는데 의견을 모았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업계는 부동산 PF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증권사의 경우 부동산 PF 대출 연체 잔액이 자기자본(76조2000억원)의 1.1% 수준에 불과해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새마을금고의 경우에도 최근 연체율은 상승 추세이나 수익성, 건전성 지표 고려 시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면서, PF·공동대출의 경우 높은 상환순위·주택담보대출비율(LTV) 감안 시 회수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부동산 PF의 연착륙을 위해 부실·부실우려 사업장에 대한 정상화·정리를 계속 유도하고, 부동산 PF 리스크가 금융회사나 건설사로 전이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금감원은 이날 점검회의 전으로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를 비롯해 5개 위탁운용사(KB자산운용·신한자산운용·이지스자산운용·코람코자산운용·캡스톤자산운용)와 부동산 PF 정상화지원펀드 업무협약을 맺었다. 업무협약에 따라 캠코는 앵커 투자자로서 책임 있는 투자와 더불어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플랫폼을 구축해 정상화 대상 사업장 발굴과 PF채권 양수도 절차를 지원해나갈 계획이다. 5개 운용사는 캠코에서 출자하는 펀드별 1000억원을 포함해 각각 2000억원 이상의 펀드를 신속히 조성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지난달 PF 대주단 협약이 적용된 사업장은 61개로, 전월(30개) 대비 두 배 늘어나는 등 금융권의 자율적인 정상화 노력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면서 "오는 9월부터 PF 사업장 정상화 지원펀드가 가동되면 부실·부실우려 사업장의 정상화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캠코는 사업정상화를 추진하는 사업장를 대상으로 우대 사업자보증을 공급하는 등 민간의 자율적 정상화 노력을 지속해서 뒷받침해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