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훈 신춘문예·상해포럼] 박환 교수 "1919년 임시헌장 '민주공화국' 언급, 세계사적으로 선구적"

2023-04-11 18:43
  • 글자크기 설정

박환 수원대 사학과 교수가 '상해임시정부의 역사적 의미 및 정신적 유산과 계승'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박환 수원대 교수는 11일 “대한민국임시정부가 1919년 4월 임시헌장에서 ‘민주공화국’이라는 단어를 사용한 것은 세계사적으로 볼 때 선구적인 것”이라고 밝혔다.
 
박 교수는 이날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1회 상해포럼 및 보훈신춘문예·보훈대상 시상식’ 기조연설에서 “임시정부의 역사는 3·1운동의 결실”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임시정부는 1919년 3·1운동 직후 일제에 빼앗긴 국권을 되찾고 자주독립을 이루고자 중국 상해에서 근대적인 헌법 체제를 갖춘 민주공화제 정부로 탄생했다.
 
1919년 4월 임시정부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를 제1조 1항으로 하는 임시헌장 10개 조항을 공포했다. 이는 1948년 광복 후 제헌헌법으로 계승되고, 1987년 9차 개정 헌법으로 이어져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상해임시정부의 역사적 의미 및 정신적 유산과 계승’이라는 주제로 연설에 나선 박 교수는 3·1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짚었다.
 
박 교수는 “1919년 당시에는 인터넷도 없음에도 온 국민이 참여한 놀라운 운동이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박 교수는 여성들이 역사 현장에 직접 나서 기여한 대표적 사건이라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국채보상운동도 있었지만 3·1운동에서 여성들이 역사의 현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면서 온 국민의 참여 속에 임시정부가 만들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전국 1700여 곳에서 3·1 만세운동이 있었는데, 두만강 건너 연변 훈춘에서 대한독립여자선언서가 발표됐다”며 “많은 국경 지역 여성들이 만세운동에 참여한 것을 감안하면 국내에서는 더 활발했을 것”이라고 했다.
 
박 교수는 “1919년 4월 민주공화국을 표방하며 임시정부가 수립됐다”며 “이후 민주공화국으로 거듭 발전하며 대한민국의 밑거름이 됐고, 이것이 임시정부 수립의 가장 중요한 역사적 의미”라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1919년 9월 서울, 러시아 등지로 흩어져 있던 임시정부들이 상하이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통합된 점에 대해서도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1926년부터 1932년까지 6년 동안 사용한 상하이 임시정부 마지막 청사를 언급하며 “상하이에 임시정부가 만들어졌을 당시 국민적 지지가 대단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타국 땅에서 상하이 임시정부를 세우기 위해 노력했던 분들의 유해가 김영삼 정부 들어 봉환되기 시작했다”며 “현재도 봉환되지 못한 애국지사들의 유해가 중국에 있는데, 이를 잊지 말아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1993년 8월 15일 김영삼 정부는 상하이 공동묘지에 방치됐던 신규식 선생을 비롯해 임시정부 요인 박은식·노백린·김인전·안태국 선생의 유해를 고국으로 봉환해 국립묘지에 안장했다.
 
국가보훈처는 전날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주인공 ‘유진 초이’의 실제 모델로 해외에서 독립운동을 펼쳤던 황기환 지사의 유해를 봉환한 바 있다. 유해는 독립유공자 제7묘역에 안장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