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 정부 시절 발생한 민간인 집단 학살 사건 '제주 4‧3 사건' 75주기 추념식이 3일 제주4‧3평화공원에서 거행된다. 윤석열 대통령과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불참하고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참석할 예정이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이날 공식 일정은 없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전날 "작년 당선인 신분으로 참석을 했고, 같은 행사에 매년 가는게 적절한지에 대해 늘 행사를 기획하면서 고민이 있다"며 "올해는 총리가 가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을 내렸다"고 윤 대통령의 불참 이유를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당선인 신분으로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와 추념식에 참석한 바 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이 취임 후 1년도 안돼 대구 서문시장을 무려 3차례 방문한 것을 감안하면 확연한 온도 차이가 느껴진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선 보수진영에서 분출되는 '이승만 국부론'을 의식한 결정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4‧3 민간인 학살에 대한 이승만 전 대통령 책임론에 선을 긋는 행보라는 분석이다.
올해 정부에서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제주지사 출신인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이 참석한다. 국민의힘은 박대출 정책위의장이 함께한다. 대통령실은 "총리가 추념사에서 내놓을 메시지는 윤석열 정부의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대표와 박홍근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가 제주에 총출동한다. 오전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오전 10시 열리는 공식 추념식에 참석한다.
4·3 희생자 추념식은 지난 2014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매년 4월 3일 행정안전부 주최, 제주특별자치도 주관으로 열리고 있다.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한 것은 지난 2006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최초다. 4·3에 대한 국가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한 것 역시 노 전 대통령이 최초다.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은 추념식에 불참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임기 중 세 차례 참석했고, 이날 오후 4·3 전직 대통령 신분으로 평화공원을 찾아 참배할 예정이다.
오후 국회에서는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도 진행된다. 한·일 정상회담 국정조사, 윤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과 대통령실 외교안보 라인 교체 논란, '50억 클럽·김건희 여사' 쌍특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책임론 등을 두고 여야의 치열한 공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의 이날 공식 일정은 없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전날 "작년 당선인 신분으로 참석을 했고, 같은 행사에 매년 가는게 적절한지에 대해 늘 행사를 기획하면서 고민이 있다"며 "올해는 총리가 가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을 내렸다"고 윤 대통령의 불참 이유를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당선인 신분으로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와 추념식에 참석한 바 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이 취임 후 1년도 안돼 대구 서문시장을 무려 3차례 방문한 것을 감안하면 확연한 온도 차이가 느껴진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선 보수진영에서 분출되는 '이승만 국부론'을 의식한 결정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4‧3 민간인 학살에 대한 이승만 전 대통령 책임론에 선을 긋는 행보라는 분석이다.
올해 정부에서는 한덕수 국무총리와 제주지사 출신인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이 참석한다. 국민의힘은 박대출 정책위의장이 함께한다. 대통령실은 "총리가 추념사에서 내놓을 메시지는 윤석열 정부의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4·3 희생자 추념식은 지난 2014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이후 매년 4월 3일 행정안전부 주최, 제주특별자치도 주관으로 열리고 있다.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한 것은 지난 2006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최초다. 4·3에 대한 국가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한 것 역시 노 전 대통령이 최초다.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은 추념식에 불참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임기 중 세 차례 참석했고, 이날 오후 4·3 전직 대통령 신분으로 평화공원을 찾아 참배할 예정이다.
오후 국회에서는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도 진행된다. 한·일 정상회담 국정조사, 윤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과 대통령실 외교안보 라인 교체 논란, '50억 클럽·김건희 여사' 쌍특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책임론 등을 두고 여야의 치열한 공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