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3/02/24/20230224155132721830.jpg)
박진 외교부 장관이 23일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1년(24일)을 앞두고 드미트로 포노마렌코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왼쪽)를 만나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24일 우크라이나 전쟁 1년을 맞아 1억 3000만 달러 규모의 추가 지원을 공약했다. 또 미국 정부로부터 한국산 포탄 추가 구매를 요청받아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사실상 우크라이나에 대한 '우회적 군사지원'으로 평가된다.
외교부는 이날 대변인 성명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주권, 영토 보전과 독립은 존중돼야 한다는 일관된 입장을 재확인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우리 정부는 전쟁으로 고통받는 우크라이나 국민들을 위해 앞으로 1억 3000만 달러 규모의 추가 지원을 공약한다"며 "지뢰제거를 포함한 인도적 지원, 우크라이나 재정 지원, 전력망 복구 등 인프라 구축 지원 및 무상개발협력사업을 통한 재건 지원 등을 중심으로 가능한 지원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우리 정부는 미국 정부의 한국산 포탄 추가 구매 요청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지난해 우크라이나에 포탄을 지원하면서 자국의 재고가 줄어들자 한국으로부터 포탄을 수입해 재고를 확보했다. 이번 역시 비슷한 방식의 포탄 공급을 추진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 정부는 우크라이나에 직접적인 군사적 지원은 하지 않는다는 것이 공식 입장이다. 이는 러시아와의 관계를 의식한 결과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해 10월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제공할 경우 한국과 러시아 관계가 파탄 날 것"이라고 공개 경고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