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값 급등과 외식비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전국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5.1% 올라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이후 24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4분기 및 연간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는 전국적으로 5.1% 상승했다. 이는 1998년 7.5%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한 것이다. 국제 유가 상승으로 석유류 가격이 오른 데다, 원자재 가격 상승 때문에 외식이 오른 게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구체적으로 강원(6.0%), 제주(5.9%), 대구(5.2%) 등 11개 시도가 전국 평균을 웃돌았고, 서울(4.5%), 부산(4.8%), 대전(4.9%), 경기(5.0%), 울산(5.0%), 광주(5.1%)가 전국 평균을 밑돌거나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 전국 평균 물가 상승률은 5.3%로 집계됐다. 강원(5.9%), 충북(5.9%) 등 모든 시도에서 4분기 기준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상승했으며 서울(4.9%)을 제외한 모든 시도가 5%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지난해 광공업 생산과 서비스업 생산은 전국적으로 각각 1.4%, 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공업 생산은 부산(10.1%), 경기(6.7%), 경남(5.5%) 등 12개 시도에서 전년 대비 증가했고, 대전(-5.3%) 등 5개 시도는 감소했다. 2021년에는 전년보다 광공업 생산이 줄어든 시도가 한 곳도 없었는데 작년에는 5개 시도에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의료, 반도체·전자부품 등 생산이 줄어든 영향이다.
서비스업 생산은 제주(8.6%), 인천(6.8%) 등 모든 시도에서 전년 대비 증가했다. 통계청은 "숙박·음식점, 금융·보험 등의 생산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경남(2.3%), 인천(2.2%) 등 3개 시도에서 전년 대비 증가, 광주(-2.4%), 충북(-1.9%) 등 13개 시도는 감소했다. 지난 2021년에는 전년 대비 감소한 시도가 전혀 없었는데 늘어난 것이다. 대형마트 등의 판매가 줄어든 영향이다.
수출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던 전년과 비교하면 크게 떨어졌다. 구체적으로 대구(34.1%), 울산(21.4%) 등 12개 시도에서 전년 대비 증가, 제주(-13.9%), 경남(-11.7%) 등 5개 시도는 감소했다.
전국 고용률은 62.1%로 20대, 30대 등의 고용률이 올라 전년 대비 1.6%p 상승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높은 물가상승률이 계속돼 경기 회복은 한동안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국내 경기 둔화를 공식화한 상황이다. 이승한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최근 경제 동향 브리핑에서 "수출이 굉장히 꺾이는 모습들이 지속됐고 최근에는 소비마저도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며 "지난해 하반기(7∼12월) 일정 시점부터 경기 둔화가 진행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4분기 및 연간 지역경제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물가는 전국적으로 5.1% 상승했다. 이는 1998년 7.5%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한 것이다. 국제 유가 상승으로 석유류 가격이 오른 데다, 원자재 가격 상승 때문에 외식이 오른 게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구체적으로 강원(6.0%), 제주(5.9%), 대구(5.2%) 등 11개 시도가 전국 평균을 웃돌았고, 서울(4.5%), 부산(4.8%), 대전(4.9%), 경기(5.0%), 울산(5.0%), 광주(5.1%)가 전국 평균을 밑돌거나 부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4분기 전국 평균 물가 상승률은 5.3%로 집계됐다. 강원(5.9%), 충북(5.9%) 등 모든 시도에서 4분기 기준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상승했으며 서울(4.9%)을 제외한 모든 시도가 5%대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광공업 생산은 부산(10.1%), 경기(6.7%), 경남(5.5%) 등 12개 시도에서 전년 대비 증가했고, 대전(-5.3%) 등 5개 시도는 감소했다. 2021년에는 전년보다 광공업 생산이 줄어든 시도가 한 곳도 없었는데 작년에는 5개 시도에서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의료, 반도체·전자부품 등 생산이 줄어든 영향이다.
서비스업 생산은 제주(8.6%), 인천(6.8%) 등 모든 시도에서 전년 대비 증가했다. 통계청은 "숙박·음식점, 금융·보험 등의 생산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경남(2.3%), 인천(2.2%) 등 3개 시도에서 전년 대비 증가, 광주(-2.4%), 충북(-1.9%) 등 13개 시도는 감소했다. 지난 2021년에는 전년 대비 감소한 시도가 전혀 없었는데 늘어난 것이다. 대형마트 등의 판매가 줄어든 영향이다.
수출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던 전년과 비교하면 크게 떨어졌다. 구체적으로 대구(34.1%), 울산(21.4%) 등 12개 시도에서 전년 대비 증가, 제주(-13.9%), 경남(-11.7%) 등 5개 시도는 감소했다.
전국 고용률은 62.1%로 20대, 30대 등의 고용률이 올라 전년 대비 1.6%p 상승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높은 물가상승률이 계속돼 경기 회복은 한동안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부도 국내 경기 둔화를 공식화한 상황이다. 이승한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최근 경제 동향 브리핑에서 "수출이 굉장히 꺾이는 모습들이 지속됐고 최근에는 소비마저도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며 "지난해 하반기(7∼12월) 일정 시점부터 경기 둔화가 진행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