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10/25/20221025174056906734.jpg)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25일 오후 출범식을 열고 인구 감소 문제 해결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었다.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원장(사진 앞줄 오른쪽 둘째부터) , 김선욱 전 이화여대 총장, 김종훈 한미글로벌 회장, 김종량 한양대 이사장, 김형오 전 국회의장, 정운찬 동반성장연구소 이사장,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감경철 CTS기독교TV 회장이 출범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미글로벌 제공]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이 25일 출범식을 열고 인구 감소 등 국가 소멸 위기 해결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딛었다.
연구원은 초저출산, 초고령화에 따른 인구 구조 변화가 가져올 미래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및 정책 방안 등을 제시할 예정이다.
오후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아트홀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통계청장·한국경제학회 회장을 지낸 이인실 서강대 교수가 초대 원장으로 추대됐다.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이사장, 김종훈 한미글로벌 회장이 발기인 대표를 맡았다.
김종훈 회장은 개회사에서 “작년 합계 출산율은 0.81명으로 인구 유지선인 2.1명의 3분의 1정도이자 세계 최저 수준”이라며 “이대로라면 2050년에는 전 세계에서 고령화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가 될 것”고 말했다.
이어 “인구 문제는 모든 기업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이며 오랜 세월에 걸쳐 막대한 예산과 사회적 비용이 소요된다”면서 “범국가적으로 유효한 정책을 수립해 정부와 정치권, 종교계, 기업, 시민단체 등 모두가 공감대를 형성하고 힘을 합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운찬 전 총리도 “지금의 인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이 앞으로 5~10년 밖에 남지 않았다는 분석도 있어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면서 “ 국민이 나서야 하고 기업과 종교계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인실 초대 원장은 “지난 2006년부터 약 15년 간 추진해 온 저출생·고령사회 정책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필요하다”면서 “단순히 현상을 관찰하고 부처별로 표면적인 결과에 대응하는 방식이 아니라 칸막이를 없애고 전방위적인 관점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출범식 이후에는 ‘기업이 인구회복의 길에 앞장선다-인구 축소시대의 민간기업의 책임과 역할’을 주제로 토론회가 진행됐다.
앞으로 연구원은 △융·복합적 정책 제안과 실행 플랫폼 구축 △국내·외 저명 연구기관들과의 이론 및 정책 실증 연구 △정기 세미나, 석학 강연 등 교육 및 캠페인 등의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연구원은 초저출산, 초고령화에 따른 인구 구조 변화가 가져올 미래를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및 정책 방안 등을 제시할 예정이다.
오후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아트홀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통계청장·한국경제학회 회장을 지낸 이인실 서강대 교수가 초대 원장으로 추대됐다. 정운찬 전 국무총리가 이사장, 김종훈 한미글로벌 회장이 발기인 대표를 맡았다.
김종훈 회장은 개회사에서 “작년 합계 출산율은 0.81명으로 인구 유지선인 2.1명의 3분의 1정도이자 세계 최저 수준”이라며 “이대로라면 2050년에는 전 세계에서 고령화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가 될 것”고 말했다.
정운찬 전 총리도 “지금의 인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골든 타임’이 앞으로 5~10년 밖에 남지 않았다는 분석도 있어 더 이상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면서 “ 국민이 나서야 하고 기업과 종교계가 힘을 합쳐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인실 초대 원장은 “지난 2006년부터 약 15년 간 추진해 온 저출생·고령사회 정책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필요하다”면서 “단순히 현상을 관찰하고 부처별로 표면적인 결과에 대응하는 방식이 아니라 칸막이를 없애고 전방위적인 관점에서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출범식 이후에는 ‘기업이 인구회복의 길에 앞장선다-인구 축소시대의 민간기업의 책임과 역할’을 주제로 토론회가 진행됐다.
앞으로 연구원은 △융·복합적 정책 제안과 실행 플랫폼 구축 △국내·외 저명 연구기관들과의 이론 및 정책 실증 연구 △정기 세미나, 석학 강연 등 교육 및 캠페인 등의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