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가 있는 곳에 주택을 공급하고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시급한 주택 공급 문제를 중점적으로 담고 있어 윤석열 정부의 주택정책에 대한 메시지로서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또한 정비사업의 사업기간 단축, ‘민간도심복합사업’ 도입으로 복합개발을 통한 신속한 사업 추진 등 다양한 공급책의 모색은 주택 공급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최근 규제 일변도인 주택정책의 부작용이 커져 왔고, 시장 수요를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는 점에서 보다 구체적이고, 시장의 시급성을 고려한 이후 정책 추진이 다른 어느 때보다 요구된다고 하겠다.
이전 정부에서도 매년 2~3차례 부동산 종합대책이 이어져 왔고, 이러한 대책들이 실제 시장과는 괴리가 커 국민의 신뢰가 크게 저하되어 있다. 급조된 부동산 대책들은 국민의 신뢰를 얻는 데 실패해 왔다. 특히 주택 공급 대책을 그때그때 경기 부양책 수단으로 접근하여 정책의 일관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부동산시장은 물론 금융시장 안정성을 저해해 왔다. 잇달아 내놓는 부동산 종합대책들이 시장에서 실제 의도한 성과를 거두는 데 한계가 있었던 것도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국민의 주거 안정을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주택보유자 세부담의 정상화 및 임대인과 임차인이 상호 윈윈할 수 있는 임대차 제도의 정비 등이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주택 공급이 실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금융 규제의 실질적인 완화책이 필요하고, 저소득층과 젊은 층의 주택 안정을 위해 주택 구입 자금에 대한 지원제도를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하여 고령화와 1~2인 가구의 증가 그리고 최근 수도권 전입 확산에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1년에도 수차례 내놓는 부동산 대책들에 대하여 실질적인 성과 분석과 피드백을 통해 시장과 정책 간 괴리를 실질적으로 좁혀나가는 노력을 통하여 정부의 주택정책에 대한 신뢰를 얻는 노력이 필요하다.
국민이 정부의 부동산 종합대책에 바라는 것은 실제로 공급 시점이 언제인지, 어느 지역에 어떤 방식으로 주택을 공급할지 등 보다 구체적인 정책 실행과 제도의 변화다. 이러한 점에서 보다 빠른 제도화와 실행 과정에서 지역민 수요를 구체적으로 반영하고자 하는 대책 발표 이후 과정이 더욱 중요하다.
지금 대다수 국민은 최근 발표된 주택 공급 대책에 대해 일단 추이를 지켜보자는 모양새다. 구체적인 공급 대안들이 조속히 만들어지는 것도 중요하고, 무엇보다 국민의 신뢰를 얻기 위한 진정성 있는 정부의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