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례없는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먹거리 물가 최전선에서 분투한 정황근 농림축산식품부 장관과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이 이달 18일 취임 100일을 맞는다. 두 장관 모두 취임 직후부터 물가 대책 마련을 위해 생산·유통·소비현장 곳곳을 발로 뛰며 소통을 강화했다는 평가다.
두 장관 모두 이번 정부의 최대 현안인 물가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짧은 시간내 정책의 가시적인 효과가 나오기 힘든 농업·수산분야라는 점에서 성과가 눈에 띄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5월 취임한 정황근 장관은 첫 현장 방문지로 밀가루·식용유 제조업체를 먼저 돌아봤다. 그간 농식품부 장관이 취임 후 첫 현장 점검으로 농촌을 방문해 왔던 것과는 다른 행보다. 당시 우크라이나 사태와 일부 국가의 수출 제한으로 국내 밀가루와 식용유 수급 불안 우려가 커지면서 '밥상물가'를 먼저 챙긴 것으로 볼 수 있다.
정 장관은 지난 10일 새 정부 첫 업무보고 사전브리핑에서 "하반기 농식품 물가안정과 식량주권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식품 물가가 치솟는 상황에서 폭염에 이은 폭우로 농산물 작황이 좋지 않은 탓이다.
정 장관은 농가 반대에도 공급 부족으로 가격 불안이 커지고 있는 품목에 대한 과감한 수입 확대 정책을 추진했다. 밥상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는 5월 돼지고기와 식용유, 밀·밀가루, 달걀 가공품 등 7개 품목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7월부터는 수입 쇠고기와 닭고기에도 이를 적용했다.
다만 아직까지 가격 인하 효과는 크지 않은 상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수입 쇠고기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7%, 닭고기는 19.0%, 돼지고기는 9.9% 높았다.
치솟는 밥상 물가와 반대로 하락세를 거듭 중인 쌀값도 문제다. 지난해 공급과잉으로 정부가 37만톤의 쌀을 시장에서 격리했지만 여전히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9월 수확철을 앞두고 추가 폭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 장관은 장기적인 쌀 수급 대책으로 일반 쌀 재배는 줄이고 밀가루를 대체할 수 있는 분질미재배 확대를 대안으로 내놨다. 분질미 재배를 통해 쌀 수급을 맞추고 연간 밀가루 수요의 10%를 분질미로 대체해 밀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 식량 자급률을 제고하겠다는 목표다.
두 장관 모두 이번 정부의 최대 현안인 물가잡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짧은 시간내 정책의 가시적인 효과가 나오기 힘든 농업·수산분야라는 점에서 성과가 눈에 띄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5월 취임한 정황근 장관은 첫 현장 방문지로 밀가루·식용유 제조업체를 먼저 돌아봤다. 그간 농식품부 장관이 취임 후 첫 현장 점검으로 농촌을 방문해 왔던 것과는 다른 행보다. 당시 우크라이나 사태와 일부 국가의 수출 제한으로 국내 밀가루와 식용유 수급 불안 우려가 커지면서 '밥상물가'를 먼저 챙긴 것으로 볼 수 있다.
정 장관은 지난 10일 새 정부 첫 업무보고 사전브리핑에서 "하반기 농식품 물가안정과 식량주권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식품 물가가 치솟는 상황에서 폭염에 이은 폭우로 농산물 작황이 좋지 않은 탓이다.
다만 아직까지 가격 인하 효과는 크지 않은 상황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수입 쇠고기 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7%, 닭고기는 19.0%, 돼지고기는 9.9% 높았다.
치솟는 밥상 물가와 반대로 하락세를 거듭 중인 쌀값도 문제다. 지난해 공급과잉으로 정부가 37만톤의 쌀을 시장에서 격리했지만 여전히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9월 수확철을 앞두고 추가 폭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 장관은 장기적인 쌀 수급 대책으로 일반 쌀 재배는 줄이고 밀가루를 대체할 수 있는 분질미재배 확대를 대안으로 내놨다. 분질미 재배를 통해 쌀 수급을 맞추고 연간 밀가루 수요의 10%를 분질미로 대체해 밀 수입 의존도를 낮추는 식량 자급률을 제고하겠다는 목표다.
조승환 해수부 장관도 지난 100일간 어시장을 비롯해 수출부두 등 현장을 발로 뛰며 물가 대책과 물류 상황을 점검했다. 특히 2030부산세계박람회가 이번 정부 국정과제로 채택된 만큼 지난 5월 취임 후 첫 공식 일정으로 '부산항 북항 재개발(사업) 1단계 개방 현장'을 방문해 사업 현황을 챙기기도 했다.
조 장관은 최근 대통령 업무보고 사전브리핑에서 최근 영업실적이 개선되고 있는 국적선사 HMM의 경영권을 민간으로 이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HMM은 한진해운 파산 등 2016년 해운업의 장기 불황이 이어지며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 등 정부와 공공부문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이 76%(전환사채 포함)에 이른다. 조 장관이 민영화의 시동을 걸었지만 최근의 호실적으로 HMM의 기업가치가 커진 반면, 해운시장이 코로나 호황 이후 다시 침체기에 들어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며 인수자를 찾는 것부터가 과제다.
조 장관은 최근 대통령 업무보고 사전브리핑에서 최근 영업실적이 개선되고 있는 국적선사 HMM의 경영권을 민간으로 이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HMM은 한진해운 파산 등 2016년 해운업의 장기 불황이 이어지며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 등 정부와 공공부문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이 76%(전환사채 포함)에 이른다. 조 장관이 민영화의 시동을 걸었지만 최근의 호실적으로 HMM의 기업가치가 커진 반면, 해운시장이 코로나 호황 이후 다시 침체기에 들어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며 인수자를 찾는 것부터가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