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가 저소득층에게 더 큰 부담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 가구는 가처분소득의 40% 이상을 식료품이나 외식 등 식비로 지출한 반면, 상위 20% 가구의 지출 비중은 1/3 수준에 그쳤다.
7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월평균 가처분소득(84만7039원) 가운데 식료품·외식비(35만7754원) 명목 지출이 차지한 비중은 42.2%로 집계됐다.
저소득 가구의 경우 전체 소득 가운데 세금 등 필수 지출을 뺀 가처분소득의 절반 가까운 금액을 식비로 지출한 것이다.
이는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평균 식비 지출 비중(13.2%)을 3배 넘게 웃도는 수치다. 전체 가구 평균(18.3%)과 비교해도 훨씬 높은 수준이다.
기재부는 "가계의 생계비 지출이 늘어나는 가운데 식품·외식 등 생활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하며 서민과 저소득층의 실질 구매력이 제약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식료품·비주류 음료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동기 대비 4.1% 상승했다. 음식·숙박 서비스 물가도 6.0% 올랐는데, 음식 서비스(6.1%)가 숙박 서비스(3.1%)보다 더 큰 폭으로 올랐다.
이런 소비자물가 상승세는 2분기 들어 심화하고 있다.
올해 5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5.4% 상승하며 2008년 8월(5.6%) 이후 13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3월부터 4%대에 진입한 데 이어 5월에는 2008년 9월 이후 처음으로 5%대까지 치솟았다.
특히 외식 물가는 7.4% 올라 1998년 3월(7.6%) 이후 24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밥상 물가 품목인 가공식품은 7.6% 상승했고, 축산물도 돼지고기(20.7%), 수입 쇠고기(27.9%), 닭고기(16.1%) 등을 중심으로 12.1% 올랐다.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 저소득층 등 서민의 부담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특히 물가가 계속 오르면 가계가 소비를 줄이고, 소비가 줄어 성장이 약화하면 소득이 감소하고 다시 소비가 위축되는 악순환이 발생할 수도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은 "물가가 너무 올라 사람들이 실질적으로는 지출을 줄이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이 내수를 중심으로 경제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