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 하락이 이어지는 가운데, 주요 대학 상경계열 교수들은 △공급망 교란 △가계대출 부실화로 인한 금융발 경제위기 △중국 경제 경착륙을 한국 경제의 3대 핵심 위험요소로 꼽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 대학 상경계열 교수 150명을 대상으로 신정부가 유념해야 할 경제리스크를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응답한 교수들의 과반은 ‘미‧중 갈등 격화, 우크라이나사태 장기화 등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 심화’의 발생확률이 높고, 우리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발생확률의 응답비중은 △높음(47.3%) △보통(35.3%) △매우 높음(12.7%) △낮음(4.7%) 순이었고, 발생 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위험도는 △심각(53.3%) △보통(30.7%) △매우 심각(11.3%) △낮음(4.7%) 순이었다.
공급망 교란에 대비해 어떤 대응책이 필요하냐는 질문에는 ‘핵심 원자재에 대한 수입선 다변화’(42.2%)를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꼽았고 ‘에너지 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산업구조의 개선’(16.5%)과 ‘해외자원개발 확대’(15.3%) 등이 뒤를 이었다.
가계대출 부실화로 인한 금융발 경제위기에 대해서도 발생확률이 높고, 발생 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치명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발생확률의 응답비중은 △높음(41.3%) △보통(32.7%) △낮음(18.0%) △매우 높음(8.0%) 순이었고, 발생 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위험도는 △심각(42.0%) △보통(36.7%) △낮음(13.3%) △매우 심각(8.0%) 순이다.
교수들은 가계부채의 효과적 해결방안으로 기준금리 인상(28.5%), ‘고용확대를 통한 가계의 금융방어력 강화’(17.1%) 등을 제시했다.
‘중국 부동산 버블과 과다한 기업부채 붕괴, 코로나19 봉쇄 등 중국 경제 경착륙’에 대해서도 발생 가능성이 높고,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발생확률의 응답비중은 △높음(39.3%) △보통(36.7%) △낮음(16.7%) △매우 높음(7.3%) 순이었고, 발생 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위험도는 △심각(42.7%), △보통(40.0%), △낮음(12.0%), △매우 심각(5.3%) 순이었다.
중국 경제가 어려워질 경우를 대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수출 다변화 지원정책’(47.0%)을 가장 많이 꼽았고, ‘안정적 금융시스템 방어력 구축’(29.5%), ‘대중 의존도 높은 산업 내수지원책 강화’(18.6%)가 뒤를 이었다.
이 밖에 교수들은 스태그플레이션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제조업 위축 발생확률이 높다고 전망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신정부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고조됨에 따라 복합경제위기의 상황에서 출범하게 됐다”며 “정책적 역량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공급망 교란 심화 등 발생가능성이 높고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이 큰 대내외 리스크부터 우선적으로 관리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 대학 상경계열 교수 150명을 대상으로 신정부가 유념해야 할 경제리스크를 설문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응답한 교수들의 과반은 ‘미‧중 갈등 격화, 우크라이나사태 장기화 등으로 인한 공급망 교란 심화’의 발생확률이 높고, 우리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발생확률의 응답비중은 △높음(47.3%) △보통(35.3%) △매우 높음(12.7%) △낮음(4.7%) 순이었고, 발생 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위험도는 △심각(53.3%) △보통(30.7%) △매우 심각(11.3%) △낮음(4.7%) 순이었다.
공급망 교란에 대비해 어떤 대응책이 필요하냐는 질문에는 ‘핵심 원자재에 대한 수입선 다변화’(42.2%)를 가장 중요한 정책으로 꼽았고 ‘에너지 이용 효율성 제고를 위한 산업구조의 개선’(16.5%)과 ‘해외자원개발 확대’(15.3%) 등이 뒤를 이었다.
교수들은 가계부채의 효과적 해결방안으로 기준금리 인상(28.5%), ‘고용확대를 통한 가계의 금융방어력 강화’(17.1%) 등을 제시했다.
‘중국 부동산 버블과 과다한 기업부채 붕괴, 코로나19 봉쇄 등 중국 경제 경착륙’에 대해서도 발생 가능성이 높고,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내다봤다. 발생확률의 응답비중은 △높음(39.3%) △보통(36.7%) △낮음(16.7%) △매우 높음(7.3%) 순이었고, 발생 시 우리 경제에 미치는 위험도는 △심각(42.7%), △보통(40.0%), △낮음(12.0%), △매우 심각(5.3%) 순이었다.
중국 경제가 어려워질 경우를 대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수출 다변화 지원정책’(47.0%)을 가장 많이 꼽았고, ‘안정적 금융시스템 방어력 구축’(29.5%), ‘대중 의존도 높은 산업 내수지원책 강화’(18.6%)가 뒤를 이었다.
이 밖에 교수들은 스태그플레이션과 국가 온실가스 감축에 따른 제조업 위축 발생확률이 높다고 전망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신정부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고조됨에 따라 복합경제위기의 상황에서 출범하게 됐다”며 “정책적 역량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공급망 교란 심화 등 발생가능성이 높고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영향이 큰 대내외 리스크부터 우선적으로 관리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